학술논문
『한국언어문학』 50년과 국어 음운론
이용수 222
- 영문명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50 years and Korean Phonology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이진호(Lee, Jin-ho)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86輯, 57~7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apers dealing with Korean phonology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LL) from 1963 to 2012 have thre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First, the substantial and definite research method is mere favored than theoretical and formal one. For example, data is focused on dialect, not standard language and functional approach used mainly' So data could be analyzed exhaustively Second, balances between methodology, subject and range of topic showed to advantage in KLL. Particularly many aspects such as paper quality, scope of contributors, diversity of topic make remarkable progress lately. Third, it have paved attention to the topic left cut by main stream Many scholars in the circle of Korean phonology have had interest in the history of phonological system or synchronic description of present Korean But paper in KLL handled some other problems. These three paint made KLL valuable in spite of ite being local journal.
목차
1. 머리말
2. 형식적 고찰
3. 내용적 고찰
4. 연구사적 특징
5. 맺음말
<참고문헌>
[부 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최송설당 문학에 나타난 자아표출 양상과 의미
- 『물고기 강의실』의 의미론적 분석
- 『한국언어문학』 50년간의 국어교육 연구사
- 신자료를 통해서 살펴본 일제강점기 출판 검열의 단면
- 명창 김세종의 생애와 판소리 이론
- 디지털 채색 언어지도 제작 도구 개발
- 김춘수의 시와 시론에 나타나는 현상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
- 바람직한 통합을 위한 문법 영역의 내용 체계 구축
- 젠더 관점에서 바라본 강은교의 여성적 시쓰기
- 속관동곡에 나타난 작가의식과 창작기법 고찰
- 글쓰기 과목의 수업 방안 모색
- 『한국언어문학』소재 방언,사회언어학 등의 연구 동향과 전망
- 『한국언어문학』 50년과 국어 음운론
- 김원일의『슬픈 시간의 기억』에 나타난 죄의식의 표출과 과거 기억의 재현 양상
- UCC프로젝트 학습법을 활용한 한국어 높임법 교육 효과 연구
- 『한국언어문학』50년의 문법 · 의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