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기업 해외 진출 활성화 방안 탐색
이용수 491
- 영문명
- A Policy Study on Promoting Overseas Education Market Entry for Korean Education Companies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회(Kim, Kyung-Hwoi) 오대영(Oh, Day-Young) 장수정(Jang, Soojung)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19권 제1호, 205~22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기업의 해외 진출실태를 조사·분석하고 교육업체의 요구분석을 통해 교육기업의 해외 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 정책방향을 탐색하고 있다. 15개국 해외 시장에 8개 교육기업이 진출하여 미국과 중국에서 가장 많은 교육사업을 펼치고 있으나 앞으로는 신흥개발도상국을 유망한 시장으로 전망하고 있다. 해외에 진출할 때 해당국에 대한 정보 부족, 현지화의 어려움, 정부의 지원책 부재 등으로 애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육기업들의 해외 진출확대 계획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교육기업의 수출을 지식서비스 산업으로 규정하여 규제대상에서 육성대상으로 인식전환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정책과제로 교육서비스 수출업무를 담당하는 전담 조직 설치, 교육서비스업을 산업발전법상의 지식서비스 업종에 포함하여 육성, 수출지원제도의 DB구축과 원스톱(One-stop) 서비스 제공, 교육서비스수출 인증제도 도입, 교수 등 교육전문가들로 해외 마케터(marketer)팀 구성, 교육서비스업 서비스 통계 DB 구축, 교육서비스의 연구개발(R&D) 지원, 교육수출과 공적개발원조(ODA)의 연계, 해외수출교육기업 협의체 구성 등을 제안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Korean government promote educational companies(KECs) to enter into overseas education market. Since early 1990s, KECs outreached their business overseas and currently eights remarkable KECs have done good jobs across 15 countries. KECs are not a strong 'export-oriented' as other knowledge industries in South Korea. Education business more depends on cultural powers rather than on capital gain. KECs, advancing overseas markets, faced difficulties in lack of market research, investment in the beginning stage, local networks, on top of governmental supports.
This paper suggests that Korean government now recognizes KECs as ‘Knowlege-Intensive Business Services’ rather than highly-regulated industry. Government assistances will promote KECs to be internationally optimistic rather than when focusing on domestic market which often binded with many kinds of regulations. Government policies proposed in this research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 dedicated to this field; recognized as ‘Knowlege-Intensive Business Services’; Provisions of one stop service system; Credit Certifying System for KEC; team building of expert marketer; fund raising for educational contents R&D; connected plan of ODA (Offical Development Assistance).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교육기업 정의 및 서비스수출 유형
Ⅲ. 연구방법
Ⅳ. 한국 교육기업의 해외 진출 실태
Ⅴ. 해외진출 지원제도 분석 및 확대 방안
Ⅵ.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