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BS 맥락에서 ‘교육’과 ‘교양’의 개념 탐색에 관한 연구
이용수 564
- 영문명
- How ‘Education’ and ‘Culture’ are Internally Conceptualized at EBS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강영숙(Kang Young Sook)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19권 제1호, 113~14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적 양상을 내재한 의사소통과정으로서 교육방송의 사태를 분석하기 위해 EBS라는 환경에서 1) ‘교육’이 어떤 방식으로 방송이라는 시스템과 결합되어 있는가 2) 그 교육이 실제로 작동하는, 프로그램 차원에서 ‘교양’은 어떻게 개념화되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사례 연구를 택했으며 교양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PD 5명과 편성지침을 결정하는 CEO를 비롯한 부서장급 간부 3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EBS 맥락에서 교육은 학교교육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며 강제적이고 재미없는 것으로 인식된다. 동시에 학교교육 밖으로의 확장을 의미하며, ‘EBS는 교육적이다’라는 신념에 터해 구성원들의 일과 삶을 구성해내는 집단적 기억으로 작동한다. EBS 맥락에서 교양은 교육 개념과 교묘하게 중첩되어 있다. 전사적(全社的) 차원에서는 교육과 같은 의미로, 프로그램 차원에서는 ‘교육은 아닌 것’으로 인식에 있어 그 틈이 벌어진다. 방송 교양이라는 지적 영역, 달리 말하면 콘텐츠의 영역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방송 교양’은 방송이라는 특수하고 구체적인 맥락에서 선택적으로 ‘구성된’ 교양이다. 방송 교양을 정의하려는 시도는 방송이라는 특정한 맥락에 존재하는 교양의 또 다른 본성(nature)를 찾는 일이다. 이제껏 독립적으로 정의되지 않았던 ‘방송 교양’의 독자적 정의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EBS which relate to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and explore the following subjects within such context. First, how education is interrelated with the broadcasting system. Second, how the notion of culture is defined in educational programs. Through a case study research, the study di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producers and three administrators, including the CEO at EBS, who are in charge of program planning. The image of ‘education’ at EBS is similar to most schools where education is mandatory and boring. It is simply an expansion of school education and a collective memory in which the work and life of EBS’ members are composed along with the company’s belief ‘EBS is educational’. The notion of culture is subtly intertwined with that of education. Clearly, there is a gap between the way the company perceives these two words and the way that producers do. The former sees culture as education, but the latter doesn’t interpret it as such. This leads us to a question: how ought we define the intellectual content of culture in the context of broadcasting? ‘culture in broadcasting’ is reconcepted culture which is selectively created in broadcasting context. The challenge to define culture in broadcasting is to develop another form of culture which exists in the special context of broadcasting. An independent definition for ‘culture in broadcasting’ is needed, which doesn’t separate it from other parts of broadcasting.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교육방송과 교양 프로그램의 개념
Ⅲ. EBS 맥락에서 교육과 교양 개념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