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 · 중학교 영어교육과정의 적용 방안 탐색
이용수 1,075
- 영문명
- Application for English curriculum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기화(Park, Ki-Hwa) 박약우(Park, Yak-Woo)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20 No.2, 105~13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15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application for English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accordance wi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placing emphasis on an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the application after its change of contents.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interviews with 7 experienced English teachers and professors and questionnaire survey for 304 English teachers nationwide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e methods of implementations concerning the following four issues of the 2009 revised English curriculum: 'the introduction of the integrated grade school system instead of the current one', 'the teaching according to the flexibility of common curriculum period', 'the differentiated learning', and 'the improvement of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ability,' The following strategic supports were designated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s of the 2009 revised English curriculum. 1) the establishment of websites where teachers can obtain some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and teaching 2009 revised English curriculum, 2) the establishment of cyber space in each class where students can practice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by interacting with their teachers as well as their friends, 3) English textbook development appropriate to apply to the integrated grade school systems of 2009 revised English curriculum. For the successful field application of the 2009 revised English curriculum, the suggestions need to be practiced with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professional support at regional and national level as well as at school level.
목차
Ⅰ. 연구 목적 및 필요성
Ⅱ.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Ⅲ.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적용상의 쟁점
Ⅳ.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방안
Ⅳ. 제언
부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직장인의 영어 학습 동기 및 탈동기화 연구
- 영어로 말할 수 있는 기회와 권리 연구
- 스페인어 몸짓과 몸짓 관용표현 학습 제안
- 러시아어 동사적 명사/동사 파생 명사의 특성
- 영어 독해 전략 지도가 학습자 독해 성취도 향상과 메타인지 전략 사용에 미친 영향
- 프랑스어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전략 방안
- 한국형 다독 교재 모형 개발
- 초 · 중등학교의 EBSe 방과후 영어 프로그램의 운영 및 활용 형태 연구
-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ith Students of Other Languages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 · 중학교 영어교육과정의 적용 방안 탐색
- 중 · 고등학교 다문화가정 학생의 영어 학업성취 특성 분석
- 언어 또는 언어교육 관련 다문화연구의 동향과 과제
- 조기 중국어 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육기관의 인식 실태조사
- 대학생의 L2( 영어) 글쓰기 효능감과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한국 대학생 영어학습자들의 학습동기와 정체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