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메이크업 이미지에 따른 시각 반응 평가
이용수 367
- 영문명
- Visual response assessment according to Make-up image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방효진(Hyo-jin Bang) 김정희(Jeong-he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4권 제2호, 113~12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2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modern times, the use of makeup has expanded into advertising. Taking a broad perspective, makeup can be classified into categories of beauty and art. Recently, it has been used for professional purposes. Therefore,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nalyze changes in pupil responses and cognitive & emotional responses to beauty makeup and art makeup images and come up with an effective plan in order to enhance the use of makeup in the production of corporate advertisements. For visual and cognitive & emotional responses of a college group to beauty makeup and art makeup images, the visual measurement test was performed and a questionnaire was give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When pupil changes were measured after proposing beauty makeup, art makeup and dot image stimuli through slides, vision changes (papillary reaction) were responded to all image types. In particular, the greatest dilatation of the pupil was observed in response to art makeup images.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and emotion response and advertisement attitude elements depending on makeup styles was compared with 20 subjects. The art makeup showed higher scores in artistic value in recognition response, decorative value in emotion response and interest, attentiveness and negativity in advertisement attitudes than beauty makeup.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인복지시설의 미용프로그램 현황에 관한 연구
- 삼백초 추출물의 항균성과 두피에 미치는 영향
- 발 반사요법이 체구성 성분에 미치는 영향
- 성격유형에 따른 네일 관리행동 및 고객만족도
- 현대 헤어 컷 스타일에 나타난 양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질경이 seed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작용에 관한 연구
- 메이크업 이미지에 따른 시각 반응 평가
- 중세시대의 헤어스타일 변천사 분석 및 작품재현
- 아트 메이크업 디자인 교육의 실태조사 연구
- 울금 및 발효울금 추출물의 피부관련 생리활성 탐색
- 일반피부관리시설과 메디컬피부관리시설 선택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웰라 트랜드에 표현된 헤어스타일의 여성성에 관한 연구
- 40대 여성의 헤어행동과 미용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미용실 서비스품질이 고객의 감정적 반응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황금(黃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세포독성 연구
- 아로마 에센셜 오일이 첨가된 반신욕의 순환자극 효과
- 저가화장품의 브랜드 이미지에 따른 만족도와 브랜드충성도에 관한 연구
- KBS 공포드라마 ‘전설의 고향’ 을 통한 성격분장 이미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