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셜웹과 공유
이용수 517
- 영문명
- Social Web and Sharing: Non Profit Sharing SNS Led by Individuals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연구학회
- 저자명
- 이성규(Lee, Sung Kyu)
- 간행물 정보
- 『문화연구』제2-1호, 254~290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5.25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바라보는 부정적 시선이 늘어나고 있다. 인터넷의 전철을 밟고 있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위시한 주류 SNS에서 비롯된 경우가 일반적이다. SNS에 대한 범위를 조금더 확대하면 SNS에 기반한 공유경제 플랫폼이 화두가 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들이 적극적 개입하며 공유경제에 대한 찬사를 보내고 있다. SNS에서 일반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공유라는 개념은 정보와 지식을 대상으로 한 논의로 한정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공유경제, 협력적 소비로 일컬어지는 SNS들은 다양한 재화를 공유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재능에서부터 한옥이라는 공간까지 다양하게 확장되고 있는 공유경제의 흐름을 짚어볼 것이다. 이를 위해 공유경제를 동기와 공유 대상에 따라 유형화한 뒤 기업과 조직이 아닌 개인이 주도하는 비영리 공유 플랫폼의 의미와 가능성을 분석한다. 공유 담론을 주도하고 있는 벤클러의 논의에 주목하면서 클레이 셔키의 방법을 동원해 개인 주도 비영리 플랫폼의 가치와 지속성을 평가해 볼 것이다. 다만 공유 플랫폼의 확산이 공유 문화로 안착되는 과정에 대한 문화적 접근이 부재하고 깊이 있는 분석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 영역은 후속 과제로 남겨 놓을 것이다.
영문 초록
Negative attention to the social network service is increasing. The voice that the social network service is following the Internet is growing. This perception is generally derived from the mainstream SN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When you expand a little more scope for SNS platform, We can find the fact that Sharing Economy is growi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some local governments are having a tribute to the sharing economy. these Governments is executing budget to Sharing Economy recently. At present, the discussion related to the sharing in SNS platforms is limited to information and knowledge sharing. However, in recent years, new SNS platforms which is also known as collaborative consumption, sharing economy, make an appearance one after another. these SNS platforms target and treat the sharing variety of goods from personal talent to Hanok space. this article explore the flow of sharing economy. to do this job, I try to classify sharing economy SNS platform depending on the target and motivation of sharing. after that, analysis of the meaning and the possibility of non profit-sharing platform led by individuals. This paper utilize the clay shirky’s methodology to evaluate the value and sustainability of the non-profit platform led by individuals. while has been noted in Yochai Benkler‘s sharing analysis and network information economy.
목차
1. 서론: 정보·지식 공유에서 재능·재화의 공유로
2. 연구 배경: 공유 행위에 대한 연구들
3. 연구 문제 및 방법
4. 분석 결과
5. 국내 개인 주도 비시장적 공유 실험의 함의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