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P.T 스펙터클과 모던공간체험

이용수  269

영문명
A.P.T Spectacle: Focused on Korean Films in the Formation of Seoul as a Metropolis in the 1960s and the 1970s
발행기관
한국문화연구학회
저자명
이효정(Lee, Hyo-Jung)
간행물 정보
『문화연구』제2-1호, 175~253쪽, 전체 7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5.25
12,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1960∼1970년대 서울에 등장한 초창기 아파트의 시각적 재현을 영화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아파트가 영화 속에서 어떻게 재현되었는가를 분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 글은 실재한 역사적 공간이자 건축물로서의 아파트와 교차분석하여 아파트에 대한 의미의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즉 아파트라는 기호를 도상성과 상징성과 관계되는 재현의 측면(representation)과, 인덱스와 관계되는 비재현적·제시적(presentation) 측면으로 동시에 다루는 것이다. 이때 재현과 실재는 경계가 뚜렷한 것이 아니라 서로 상호침투하면서 새로운 윤곽을 만들어 낸다. 근대성의 기표인 1세대 초창기 아파트는 당시 잡지, 영화, 신문, 텔레비전, 라디오, 에세이 등을 비롯한 여러 매체에 등장하는 기호이자 종암아파트(1956), 마포아파트(1962), 시민아파트(1969), 한강맨션(1970) 등 실제 서울에 존재했던 건축물이었다. 당시 아파트는 강한 가시성과 현시성을 가진 대도시 스펙터클로서 서울이라는 공간의 팽창, 도시 신중산층이라는 새로운 집단의 형성, 도시 빈민의 발생, 자본의 침투와 도시개발, 국가적 이데올로기 장치 등 모더니티라는 상호관계망 내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긴밀하게 연동된다. 이러한 아파트는 동시대 한국 대중영화의 미장센의 요소로 적극적으로 호출된다. 1960년대 스크린상에 표상된 아파트는 영화적 볼거리의 성격을 강하게 드러내면서 재현과 실재 사이의 시간적 편차와 스크린과 현실 사이에서 발생하는 대중 욕망의 간극을 내포한다. 1970년대의 영화 속 아파트는 스펙터클적 볼거리의 시각체제를 넘어서면서 그것을 전복시키는 요소로 나타난다. 이처럼 1960∼1970년대 영화 속 아파트는 재현물로서의 아파트와 실재한 역사적 공간으로서의 아파트 사이에서 경합을 벌이며 ‘재현속의 현시(presentation in representation)’라는 수행적 기호로 작동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modernity and visuality of the early apartments that emerged in the 1960s and 70s in the formation of the Seoul as a metropolis. It mainly deals within the period of the 60s and the early 70s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military regime of Park Chung-hee. At that time, Apartments frequently appeared as a cinematic spectacle of the metropolis in 60s Korean films to present Seoul as a modern space despite it’s only 0.2% in South Korea as well Seoul was still in ruins after war. In the early 60’s, the apartment on the screen is close to the attraction that revealed the gap between reality and fantasy. In the late 60’s to the early 70’s films, apartment is involved in the narrative as a display of particular ideology, satire and social criticism mise-en-scene that shows the intersection of reality and screen.

목차

1. 들어가며
2. 초창기 아파트의 원풍경
3. 스크린 속의 아파트
4.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효정(Lee, Hyo-Jung). (2013).A.P.T 스펙터클과 모던공간체험. 문화연구, 2 (1), 175-253

MLA

이효정(Lee, Hyo-Jung). "A.P.T 스펙터클과 모던공간체험." 문화연구, 2.1(2013): 175-2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