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남아시아 문화연구의 특징과 전망
이용수 855
- 영문명
-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Prospects of Cultural Studies in Southeast Asia, with Special Reference to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연구학회
- 저자명
- 홍석준(Hong, Seok-Joon)
- 간행물 정보
- 『문화연구』제2-1호, 60~104쪽, 전체 4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5.25
8,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우선 영국에 기원을 둔 문화연구의 특징과 발전과정, 그리고 그 내용과 전술, 전략에 대해 살펴보고,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문화연구의 동향과 전망, 그리고 말레이시아에서 문화연구가 출현하게 된 배경과 특징,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와 포스트콜로니얼리즘과의 상호 관계,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와 인류학적 연구와의 상호 관련성이라는 각각의 주제를 고찰한다.
문화연구 전체의 구도 속에서 동남아시아의 문화연구, 특히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동향과 전망에 대한 고찰은 문화연구의 역사적 기원이나 계보학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레이먼드 윌리엄스나 스튜어트 홀, 그리고 그 이후의 주요 문화연구자들이 문화연구를 둘러싸고 어떠한 상황에 직면해 ‘문화’와 관련된 연구 질문이나 문제를 제기하고, 어떠한 구체적인 기술과 분석을 수행해 왔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일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이는 문화연구의 특수성과 보편성의 변증법적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과 필요를 불러일으킬 것이다. 이 글에서 영국 문화연구의 초기 역사와 활동 내용을 소개하고, 설명하는 데 상당한 분량을 할애한 것은 동남아시아, 특히 말레이시아에서는 ‘문화연구’라는 용어가 아직까지도 인문사회과학계를 포함한 학계일반에 널리 소개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내용의 특성이나 의미에 대한 해석과 주장을 둘러싸고 의견이 분분한 사정이 현재까지도 지배적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동향과 그 특징에 대한 설명에 이어서, 앞으로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문제점에 대해 비판적 진단과 평가를 한 후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는 것으로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동향과 전망에 대한 검토 작업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prospects of cultural studies in Southeast Asia, with special reference to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In this paper, I review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ocesses of development of British cultural studies, and the contents, methodological strategies and tactics of cultural studies, originated from British cultural studies. Then, I investigate the historical background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the thema on the interactions between Malaysian cultural studies and postcolonialism, an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studies and anthropological studies in Malaysia as well. This has relation to explore the reason why cultural studies in Southeast Asia with special reference to Malaysia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non-Western societies and postcolonial situation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n the world of cultural studies, the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prospects of cultural studies in Southeast Asia, especially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is an inseparable relations to the examination or review of the description and analysis of the concept of culture in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as well as in British cultural studies. This work evokes the interest in the dialectical interactions between specialty and universality of cultural studies in general and that of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in particular.
For this purpose, I do explain the current situ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and suggest the future prospect of cultural studies in Malayisia. Then,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I do diagnose and estimate the problems of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In conclusion, I propose how to develop and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more successfully and meaningfully.
목차
1. 머리말: ‘문화’의 개념 설정
2. 문화연구의 일반적 특징
3.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배경과 그 특징
4. 맺음말에 대신하여: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전망과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