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사회의 범죄요인과 대응전략
이용수 881
- 영문명
- A Study on the crime-factor and countermeasure of a multicultural society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김순석(Kim, Soon Seok)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9권 제1호, 5~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경제성장과 노동력 부족현상, 세계화에 따른 입국간소화조치 등은 동남아 저소득 국가를 중심으로 한 외국인들의 대량 입국과 국제결혼을 증가시켰다. 이들은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상을 가중시켰으며 이는 다문화사회의 다양한 사회문제 가운데 치안환경의 악화에도 영향을 주며 새로운 사회부작용의 요소가 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 연구는 법무부의 출입국ㆍ외국인 관리통계연보, 대검찰청의 종합심사분석, 경찰청의 경찰백서 등 각종 자료를 토대로 한국의 다문화사회의 현황과 다문화범죄의 추이를 통하여 다문화범죄 연구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이러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한국사회에서의 다문화범죄의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다문화범죄 요인의 해소를 위해서는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의 대전환이 선행적으로 요구되며 경찰활동의 패러다임을 구조적으로 개선하는 거버넌스 체계의 구축과 다문화범죄에 대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조직 개편을 그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As internationalization, globalization and open door policy are intensified so that man, commodity and capital may be freely exchanged and communicated, resident foreigners are rapidly increase in numbers. Lots of workers are moving for a Korean dream from low income countries in Southeast Asia to Korea, which has experienced economic grown, lacked labor and simplified customs entry formalities according to the world' globalization trend.
In this situation, criminal policies need be focused on the quickly increasing crimes which are committed by the foreigners staying in Korea.
As a resul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aid problems and foreigner crimes has been identified and foreigner crimes have been classified and analyzed in each item of the statistical materials.
Considering the above-said diagnoses and prospects, the following measures are suggested. First, it is found that foreigner crimes and illegal aliens are very closely correlated.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prevent foreigner crimes is taking countermeasures against illegal aliens before anything else. Second, to reinforce investigations into foreigner crimes, exclusive investigation organizations shall be set up more, professional investigators equipped with investigation and foreign language abilities shall be cultivated, and interpretation systems shall be arranged. Finally, on the international level,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ly cooperated investigations is required.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다문화사회의 범죄요인
Ⅳ. 다문화사회 범죄에 대한 대응전략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사회의 범죄요인과 대응전략
- Ordered Logit 모형을 활용한 학교폭력 원인분석 및 경찰대응 정책의 시사점
- 가정폭력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년범죄자의 부모, 학교애착 및 비행친구가 재범가능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폭력피해경험과 학업스트레스가 사이버 불링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범죄피해자지원제도 개선방안 연구
- 묻지마 범죄에 대한 심리적 이해
- 공지영의 소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에 나타난 한 사형수에 대한 발달적 범죄예방 차원의 위험요인 분석
-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 지하철 성범죄의 유형별 실태분석과 대응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