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결망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3, 4학년 미술과 교과서의 내용 분석 연구
이용수 555
- 영문명
- An Analytic Study on the Arts Textbook Contents for the 3th and 4th Graders by Using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손승정(Son Seung Jung)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6券 3號, 267~28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1.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술과 교과서는 미술과 교수·학습에 중심적인 교재이다. 학교 현장에서는 교과서를 중심으로 하여 미술과 수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교과서의 내용의 중요성은 간과할수 없을 것이다. 미술과 교육과정은 시각 문화에 대한 이해와 표현 활동을 중심으로 하여 계속성과 계열성, 연계성을 갖고 통합적인 방향으로 구성이 되어야 하는데, 미술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미술과 교과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사회 연결망 이론을 바탕으로 한 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초등학교 3, 4학년 미술과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미술과 교과서에 관한 여러 분석들이 있었으나 여기에서는 교과서의 내용 요소들 간의 연결 관계를 살펴 앞으로 제시 될 새로운 미술과 교과서 내용의 구성에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영문 초록
Art textbook is the main teaching material in the art department. The class at school is focused on the textbook. Therefore,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cannot be overlooked. Arts education curriculum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visual culture and expression with the integration of continuity. Sequence, and articulation, and so does the art textbook. Therefore, I inten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art textbooks for the 3rd and 4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by the social network analysis which is based on the social network theory. There are various analysis on the art textbook, however, this study will examine the linkage of the content in the textbook,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new organization of the future art textbook.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미술과 교과서의 내용 구성
Ⅲ. 미술과 교과서 내용 연계성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 감상수업에서 협동학습이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뇌기능특성으로 본 로웬펠드의 시각형과 촉각형 고찰
- 인문학적 접근으로 바라본 시각문화미술교육
- 미술교과서의 드로잉 영역에 대한 고찰
- 동시대 현대미술의 의미 있는 수용에 관한 기초연구
- 미술중심의 STEAM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 쉴러의 『인간의 미적 교육을 위한 편지』가 함의하는 미적 교육의 목적 연구
- 연결망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3, 4학년 미술과 교과서의 내용 분석 연구
- 남북한 미술의 특징과 교육과정 비교
- DBAE에 기초한 미술프로그램이 아동의 다문화 인식과 반편견 정서에 미치는 영향
- 7차 교육개정안 미술교과서 참고작품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융합의 지형도 그리기
- 근대 초등미술교과서에 나타난 투시도법내용 분석
- 미술과 교수학습공동체에서의 반성적 사고와 실천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