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설창작의 평가 기준 연구
이용수 154
- 영문명
- A Study on Evaluating Standards of Creative Writing Fiction-Focused on making setting-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이미란(Lee, Mi-ra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82輯, 451~47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at providing student writers with a framework of evaluating setting makeup of their own manuscripts from readers' eye. The process is divided into two parts; specific evaluating elements of setting makeup are examined by synthetic reading and analytic reading. And then the setting makeup of a real work as an example is analysed on the base.
The evaluating standards are 'Unity' in the synthetic reading, and 'Preciseness', 'Coherence', 'Affinity' in the analytic reading. And the synthetic evaluating elements of 'Unity' is presented as 'Is the setting presented vividly?' and 'Is the setting contributed to present the theme?'
Next, the analytic evaluating standards of 'Is the setting presented vividly?' are 'Is the objective accuracy maintained?(preciseness), 'Does the setting go well with story character?', 'Is the setting description in accord with point-of-view restriction?(Coherence), 'Are the details presented specifically and clearly?' 'Are there any redundant words or phrases?', 'Are the sentences clear?' (Affinity)
And the analytic evaluating standards of 'Is the setting presented vividly?' are presented as 'Does the setting makeup form a consistent atmosphere?', 'Does the setting makeup have a durability?' (preciseness), 'Does the setting description reflect the feeling of the viewpoint character?', 'Does the setting function as a part of plot?', 'Does the setting harmonize with the tone?'(Coherence), 'Doesn't the information of the setting weaken the tension of the plot?', and 'Aren't there any description for description?'(Affinity).
With the evaluating standards mentioned above, Kim Chewon's Winter's illusion is analysed. Using sensitive and specific details creating a psychological setting with vivid images, it attracts readers into the story. And it portrays a character the psychological setting forms and brings up. Trough presenting a snowing scene as a consistent setting, it forms the story atmosphere, proceeds plot, and makes the story compact with showing the character's growing up symbolically, and represents its theme properly.
As a result this novel can be a work that the effective setting makeup is greatly contributed to get its originality.
목차
1. 들어가며
2. 배경 구성의 평가 기준
3.『겨울의 환(幻)』의 배경 구성 분석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설창작의 평가 기준 연구
- 玉吾齋 宋相琦의 漢詩世界
- 한글 필사 고문헌에 나타난 어휘 고찰
- 박지원 문학에 나타난 공간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 이주민 서사에 재현된 ‘네팔’ 표상과 서사의 욕망
- 김동리 소설의 변신 모티프 연구
- 야[爲]’의 통시적 변화에 대한 연구
-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한 <바리공주>巫歌의 교육적 의의 지도방안 연구
-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학습이 한국어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김수영 시론의 담론적 의미
- 조웅전의 인물 형상
- 眉巖 柳希春의 詠史詩에 나타난 思惟와 지향
- 최하림 시의 ‘시행 엇붙임’ 양상 고찰
- 채만식의 초기소설에 나타난 ‘가족과 자본’
- 박용래 시의 죽음의식 연구
- 신재효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관(官) · 민(民)의식과 사회적 지향
- 고려가요 서경별곡의 텍스트성 연구
- 牧隱 流配期 詩의 情感 樣相
- 불경계 서사의 소설적 변용과 그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