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음의 분화’의 비언어적 측면
이용수 91
- 영문명
- The Differentiation of Mind and the Tacit Dimens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김정래(Kim, Jeong-Nae)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敎育哲學 第48集, 217~24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aper has trie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differentiation of mind regarded as 'educatedness'. There are two main aspects of the differentiation of mind: the logical aspect of school subjects and the psychological aspect of mind. As already argued, the two are to be integrated for the progressing feature of mind development. Though, a problem arises from the process of this integration which cannot restrict to the articulated domain of the content. Ryle's knowing-how, Hayek's muddling, and Polanyi's tacit knowing respectively throw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non-articulated domain of human knowledge, both in the epistemological and educational contexts. The non-artificial meaning of common sense has also been taken into account.
The tacit dimension takes part in the process in which children as well as scientists try to inquire their own topic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for recognizing things and formating relevant concepts for them, which Polanyi has demonstrated this in his Tacit Dimension. This would require so-called 'academic freedom' for the better state of human knowledge. For this the progressivsts and romantists indeed tend to reject the tradition for the these inquiries, which for Polanyi is a detrimental mistake. Whether or not we recognize the articulation of educational content, we never fail to accept the tradition for the growth of understanding and the development of mind in order to be educated in terms of the differentiation of mind.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마음의 분화’의 특징
Ⅲ. 교과의 논리적 측면과 경험의 심리적 작용
Ⅳ.‘마음의 분화’의 비언어적 작용
Ⅴ.‘마음의 분화’와 교육적 과제
Ⅵ. 맺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쟁과 선발과 교육의 시스템의 전환
- 『禮記』의 『學記』에 나타난 교학사상
- 가르치기 어려운 시대의 교육과 학교
- 학교폭력의 이해와 예방을 위한 마음인문학적 접근
- 영국 대학의 개혁 동향: 대학 이념을 중심으로
- 자유와 권위에 대한 듀이의 관점과 그 교육적 의의 탐구
- 교육주체간 이념갈등의 문제와 과제
- 어린이 철학교육을 위한 어린이 ‘철학함’의 본질 탐색
- ‘마음의 분화’의 비언어적 측면
- 학교 낙서의 교육인간학적 이해
- 학교의 복지와 인권 논쟁에 대한 교육철학적 반성
- 서양철학의 정신도야 모델에 대한 고찰
- 내러티브에 기반한 교육과정 설계 원리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