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바수반두(Vasubandhu)의 논쟁에 대한 이해
이용수 156
- 영문명
- Vasubandhu’s View on Debate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저자명
- 강성용(Kang, Sung-yong)
- 간행물 정보
- 『불교학연구』제7호, 463~48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a fragment from Vādavidhāna we can find Vasubandhu’s rejection of the three kinds of debate, i.e. vāda, jalpa and vitaṇḍā, which we can find in Nyāyasūtra 1.2.1-1.2.3 as a typical example or in Carakasaṃhitā Vi. 8.28. Although there were many different views over the debate (vāda) and related topics, such three-division of debate had been accepted in broad circle of the early debate tradition in India. Through the analysis of further fragments I demonstrated that Vasubandhu used the term, vāda in such a neutral way that both positive and negative kinds of debate can be understood by it. On the basis of a thinking experiment one can see that an unintended occurrence of an argumentative failure does not make a large difference to an intended use of an incorrect argument in a real debate. This practical inapplicability of such a differentiation was, I believe, the reason for Vasubandhu’s rejection of the three kinds of debate. In this way we can understand the view Vasubandhu’s that there is only one way of the discourse (kathāmārga). Apparently this refusal of the three kinds of debate came from the analysis of the actual debate process. These three kinds of debate were probably delivered from the ritualistic tradition and accepted as a practical guideline assistance for the debaters in the days of Vasubandhu in India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논쟁을 세 가지로 나누어 보는 견해들
Ⅲ. Vādavidhāna에 제시된 바수반두의 논쟁에 대한 설명
Ⅳ. 실제 논쟁 상황을 전제로 한 고려와 그 함축
Ⅴ. 바수반두의 ‘논쟁(vāda)’에 대한 태도
Ⅵ. 논쟁을 세 가지로 나누는 것의 어려움
Ⅶ. 논쟁을 세 가지로 나누는 것의 의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眞如에 대하여
- 『중론송』 ‘귀경게’ 의 번역과 해석
- 경전번역의 형태와 당면과제
- 『능가경』의 禪法과 초기 禪宗(2)
- 楞嚴心呪 悉曇梵字 한글표기에 관하여
- 정보화로 인한 종교 영역의 변화와 포교전략
- 바수반두(Vasubandhu)의 논쟁에 대한 이해
- 근대 한국불교의 종교정체성 인식
- 판본별 티베트대장경에서의 삼장명에 대한 고찰
- 『華嚴經』의 善財童子 순례
- 『대념처경(Mahāsatipaṭṭhāna sutta)』에서 보이는 수념처(受念處)의 실천과 이해
- 불교 한문번역을 위한 몇 가지 제언
- 법보(法報)의 역할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조선후기의 선(禪)논쟁에 내포된 원형지향성
- 불교 안에서의 다원주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전쟁과 폭력 그리고 종교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사례를 중심으로
- 나가르주나와 스피노자 - 사유의 극단, 초월론적 세계관의 극복
- 『불교』에 나타난 조종현의 학술과 개혁론 - 『대승기신론』강의와 강원교육제도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