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眞如에 대하여
이용수 245
- 영문명
- About the Reality(眞如) : on the focus of The Doctrine of Mere-Consciousness(成唯識論)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저자명
- 김치온(Kim, Chi-On)
- 간행물 정보
- 『불교학연구』제7호, 437~46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surveyed several literatures concerning the Reality(眞如) from the viewpoint of the books of vijñāpti-mātra and especially focused on The Doctrine of Mere-Consciousness(成唯識論).
First of all, the subject of human mind is originally pure was examined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Doctrine of Mere-Conscious-ness(成唯識論).
Secondly, the relationships between own natural purity(自性淸淨) and Reality(眞如), between the four kinds of nirvana(四種涅槃) and Reality(眞如), between Ultimate Reality(圓成實性) and Reality(眞如), and between Dharmatā(法性) and Reality(眞如) were explored. Lastly, seen from the whole contents of The Doctrine of Mere-Consciousness(成唯識論), the doctrine of arising from conditional causation(緣起說) of The Doctrine of Mere-Consciousness(成唯識論) should be categorized and named Seed doctrine(種子緣起說) or Essential vijñāna doctrine(根本識緣起說) or the Eighth vijñāna doctrine(第八識緣起說). The doctrine of arising from conditional causation(緣起說) of The Doctrine of Mere-Consciousness(成唯識論) is usually called ālaya doctrine(阿賴耶緣起說). we consider the reason of this categorization comes from the lessening the contents of vijñāpti-mātra philosophy(唯識學).
목차
Ⅰ. 머리말
Ⅱ. 眞如와 關聯 論題
Ⅲ. 圓成實性과 依他起性의 非異非不異
Ⅳ. 種子緣起說
Ⅴ. 結語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眞如에 대하여
- 『중론송』 ‘귀경게’ 의 번역과 해석
- 경전번역의 형태와 당면과제
- 『능가경』의 禪法과 초기 禪宗(2)
- 楞嚴心呪 悉曇梵字 한글표기에 관하여
- 정보화로 인한 종교 영역의 변화와 포교전략
- 바수반두(Vasubandhu)의 논쟁에 대한 이해
- 근대 한국불교의 종교정체성 인식
- 판본별 티베트대장경에서의 삼장명에 대한 고찰
- 『華嚴經』의 善財童子 순례
- 『대념처경(Mahāsatipaṭṭhāna sutta)』에서 보이는 수념처(受念處)의 실천과 이해
- 불교 한문번역을 위한 몇 가지 제언
- 법보(法報)의 역할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조선후기의 선(禪)논쟁에 내포된 원형지향성
- 불교 안에서의 다원주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고교학점제 하 다문화 교육 운영 방향 고찰
- 영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병렬이중 매개효과
- 금강경 기도에 참여한 여성 참여자의 초월적 시간관, 삶의 의미, 심리적 안녕감 분석 연구 -연령과 종교생활 기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