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Investigation into the Possibility and Practicality of an East Asian Model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윤미(Yoonmi Lee)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2권 제5호, 1~3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동아시아모델’이 교육에서도 유형화될 수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동아시아모델은 사회과학에서 주목되어 왔지만 합의된 정의가 있는 것은 아니며, 교육분야에서 이에 대한 정밀한 분석은 시도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동아시아교육이 하나의 모델로 조명되기 위해서는 국가들의 교육발전경로와 제도에 대한 역사적-구조적 분석이 필요하며, 국외-국내, 교육외-교육내 관계 등이 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접근했다. 이러한 분석 관점에 기초해서 동아시아국가(사회)의 교육제도 형성과정과 교육체제의 특징을 검토하였고 그 일치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각 국 사례가 보여주는 다양한 일치점들은 동아시아교육이 하나의 모델로 성립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사회변화에 따라 기대되는 새로운 요소들(문화적 다양성, 시민사회 성장)에서 나타나는 차이들은 정치적 권위주의 및 경제적 생산주의에 기반하여 성립된 동아시아교육 모델의 변화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so-called “East Asian model” has emerged since the 1980s in social science literature, focusing mainly on the extraordinary economic success of Japan and the subsequent development in societies such as Taiwan, South Korea, Singapore and Hong Kong, or the Four Asian Tigers. China, allegedly, has recently joined the ranks of these societies.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and practicability of constructing an East Asian model of education, which parallels the path of economic development. By employing a research perspective focusing on the historical-structural approach, attention is paid particularly to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six systems.
The paper suggests that a construction of an East Asian model of education is possible given the similarities in the historical and structural evolvement of the society and education in each case. Yet, however, some crucial differences appear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relation between the state and civil society and the notions of cultural (or ethnic) homogeneity. These differences are crucial in so far as they may directly challenge some of the fundamental aspects of the East Asian model, possibly leading to the change of the model itself.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동아시아 교육’은 있는가: 선행연구 검토
Ⅲ. 쟁점, 분석준거, 분석틀
Ⅳ. 동아시아 각국 교육의 특징 및 유형화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홍콩의 학교기반 방과후 활동과 지원 프로그램 운영 연구
- 미국의 교과서 인정 제도 분석
- 미국 로스쿨 인증평가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
- 핵심역량기반 프랑스 유아교육과정 개혁의 시사점
- 일본 동경대학 가을 입학제 도입과 시사점
- 언론기관 자국 내 대학순위평가의 현황과 쟁점 분석
- 초임교사의 실천적 지식 학습전략과 그 과정에 미치는 교사조직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 한국과 프랑스의 교육전문직 인사제도 비교 분석
-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국제적 추진 전략 특성 분석
- 국제교류 참여 대학생 특성에 대한 국제비교
- 동아시아 모델의 교육적 적용 가능성 탐색
- 정부산하 비형식교육기관에서의 다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향성 탐색
- 호주 고등교육질관리기구(TEQSA)의 주요 특징과 시사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설계 및 적용
- 증강텍스트 읽기 수업에 대한 독자의 흥미 연구
- 공통국어 1 수행평가의 문제 양상 분석 - 수행평가의 내실화와 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