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버문 연구’를 寫한 첫 걸음
이용수 26
- 영문명
- Essay on Ungrammatical Sentence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 저자명
- 김광수(金光水)(Kim, Kwang-soo)
- 간행물 정보
- 『철학과 문화』철학과 문화 17집, 57~7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0.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논술문을 작성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문법적인 문장에 관한 것이다. 논리적인 글을 작성할 때 비문(문법적인 않은 문장)의 사용은 문장의 의미를 잘 못 전달하게 되어 글 전체의 논리적인 연관성을 깨뜨리게 된다. 비문의 사용은 논술자의 능력을 평가 받을 때 부정적 요소로 작용함으로 논술자는 비문의 유형을 파악하여 글을 작성하면서 비문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논술에서 요구하는 논리를 잘 전개하려면 의미를 정확히 전달하는 문법적인 문장을 사용해야 함을 이 글에서 지적하였다 논술과 관련하여 비문에 관한 연구와 정리가 제대로 시도되지 않은 상황에서/ 비문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함을 밝혔다.
영문 초록
Grammar is a body of rules specifying how phrases and sentences are constructed in the language. This paper describes a generalized Standard Korean, which is the form of speech found in types of public discourse including broadcasting, education, entertainment, government, and news reporting. Ggrammatical Sentence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essay test. In this paper, I deal with the problem why we use a Ungrammatical Sentence, although we study a grammar for a long time.
It is different a Spoken grammar from a Written grammar. Many people think that Grammar is a Written grammar. But there is a Spoken grammar. Some sentence which is written by a Spoken grammar are a ungrammatical Sentence. I showed the reason why a Ungrammatical Sentence is written in a academic paper.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면서
2. 비문이란
3. 비문을 쓰지 말아야 하는 까닭
4. 비문을 판단할 때의 어려움
5. 나가면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철학분야 NEW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중등 수업 사례
- 프랑스 철학교육사 속 어린이철학과 그 함의: 우리 어린이철학교육의 지향을 모색하며
- 그림책 철학수업에서 구현 가능한 미적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