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MERLEAU-PONTY'S SOLUTION TO THE MIND-BODY PROBLEM AND ITS PHILOSOPHICAL IMPLICATIONS IN TOEGYE'S CONCEPT OF SELF CULTIVATION

이용수  54

영문명
심신의 문제에 대한 메를로 퐁티의 해결책과 퇴계의 자기수양이라는 개념을 통해 살펴본 이 해결책의 철학적 함의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저자명
무하마드 묵타사르 샴수딘(Muhammad Mukhtasar Syamsuddin)
간행물 정보
『철학과 문화』철학과 문화 13집, 158~180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자기수양(自己修養)이라는 개념을 메를로퐁티(Merleau-Ponty)가 심신의 문제에 대해 제시한 해결책을 통하여 그것이 지닌 철학적 함의를 연구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에서 연구는 성학십도(聖學十圖)에서 퇴계가 정형화시킨 자기수양 개념을 메를로 퐁티가 심신 문제에 대해 제시한 해결책의 존재론적, 인식론적, 윤리학적인 함의를 통해 새롭게 이해 하는 방법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퇴계의 자기수양의 개념을 심신의 문제에 대해 메를로 퐁티가 제시한 현상학적 해결책을 통해 고찰함은 실로 무한한 철학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첫째 메를로 퐁티의 실재(實在 reality)에 대한 일원론적시각에 따르면, 퇴계의 실체(實體 substance)와 기능(機能 function)의 이분법적 체계에서의 원리에 대한 설명이라는 존재론적인 이원주의로 귀결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만약 메를로 퐁티가 감각적 경험 이전에 필요한 조건으로서 우리 자신에 대한 탐색을 정당화했다면, 퇴계는 천리(天理 mindfulness)를 인간의 본연(本然)의 특성으로 보기 때문에, 철리를 자기수양을 정진시킴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정수(精髓)로서 강조하고 있다. 셋째 메를로 퐁티의 ‘내재화(內在化)된 자아(自我)’라는 개념을 통해 살펴볼때, 퇴계가 ‘ ren(人)’과 인간의 본성에 대한 비평을 통해 제안했던 것이 자아와 타자(他者)는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님을 주장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퇴계에 따르면 도덕적 수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의 물질적 본성으로서의 인욕(人慾)을 변형시키고, 인간 자신의 본성으로서의 천리(天理)를 이행할 수 있는 잠재성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퇴계는 인간성의 개선(改善)을 위한 인간 자신의 잠재성에 그 누구보다도 더 깊은 신뢰를 가졌다고 말할 수 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Introduction
Ⅱ. Ontological Implications
Ⅲ. Epistemological Implications
Ⅳ. Ethical Implications
Ⅴ. Conclusion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무하마드 묵타사르 샴수딘(Muhammad Mukhtasar Syamsuddin). (2006).MERLEAU-PONTY'S SOLUTION TO THE MIND-BODY PROBLEM AND ITS PHILOSOPHICAL IMPLICATIONS IN TOEGYE'S CONCEPT OF SELF CULTIVATION. 철학과 문화, 13 , 158-180

MLA

무하마드 묵타사르 샴수딘(Muhammad Mukhtasar Syamsuddin). "MERLEAU-PONTY'S SOLUTION TO THE MIND-BODY PROBLEM AND ITS PHILOSOPHICAL IMPLICATIONS IN TOEGYE'S CONCEPT OF SELF CULTIVATION." 철학과 문화, 13.(2006): 158-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