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류 존속에 대한 논의는 한국인의 존속에 대해 무엇을 말해주는가
이용수 3
- 영문명
- The Continuation Of Korean People In Light Of The Continuation Of The Humanity?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저자명
- 이찬우
- 간행물 정보
- 『철학논집』제82집, 65~9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류의 멸종은 왜 막아야 하는가? 한국인이 존속해야 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인류의 존속 이유에 대한 논의와 한국인과 같은 특정 인구 집단의 존속 이유에 대한 논의를 견주어 살펴보겠다. 인류 존속에 관해 주목받는 실천철학적 시각으로는 (i) “거시주의적” 시각, 즉 거시적 관점에서 인류가 이룩할 수 있는 잠재적인 행복의 총합을 근거로 인류가 존속해야 한다고 보는 시각, 그리고 (ii) “미완의 과업”에 근거한 시각, 즉 인류가 세대를 이어가면서 매진하는 공동의 과업을 근거로 인류가 존속해야 한다고 보는 시각을 들 수 있다. 이들 시각은 인류의 존속을 위협하는 실존적 위기가 갖는 문제, 보다 정확히는 실존적 위기가 그저 동반하는 문제가 아니라 그 자체로 갖는 문제에 대해 각기 다른 설명을 제공한다. 그렇다면 이들 시각은 인류 존속의 근거를 제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한국인 같은 특정 인구 집단의 존속 이유 또한 제시할 수 있는가? 이 글에서는 거시주의가 한국인의 존속에 대해서 시사하는 바는 희박한 반면, 미완의 과업은 그 가능성이 열려있다고 논하겠다. 나아가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논의가 여러 위기를 당면한 현 사회에서 어떤 의의를 가질 수 있는지 짧게 논하겠다.
영문 초록
Why do we need to prevent human extinction? Is there a reason why Korean people should continue to exist? This paper considers these two questions in tandem, asking whether the reasons for the continuation of the human species can be extrapolated to that of Korean people (or, by extension, any equivalent population group). I examine two approaches to the continuation of the human species, both of which attempt to explain why an existential risk to humanity is not only bad due to its side-effects but is also ipso facto problematic. First, “Longtermism” argues that the human species should continue because of its expected total happiness in the long term. Second, “Unfinished Business” argues that the human species should continue due to its pursuit of a trans-generational project toward a certain goal. When applied to the case of Korean people, I argue that only the latter seems potentially available for providing a reason for the continuation of Korean people. I conclude this paper by discussing the possibl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discourse in the current public sphere in facing existential risks.
목차
I. 들어가기
II. 인류와 한국인, 그리고 실존적 위기
III. 실존적 위기, 그 자체의 문제와 동반하는 문제
IV. 접근 1: 더 많은 행복한 사람들을 탄생시켜야 한다.
V. 접근 2: 우리의 과업은 완성되어야 한다.
VI. 나가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