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周易』의 상(象) 사유로 본 시뮬라크르 시대
이용수 0
- 영문명
- The Age of Simulacra Through the Lens of Yi Jing Images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저자명
- 이순영
- 간행물 정보
- 『철학논집』제82집, 7~4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대 사회의 시뮬라크르(Simulacra) 현상이 야기하는 진정성 혼란, 의미 통찰력 상실, 자율적 주체성 붕괴 문제에 주목하며, 이에 대한 『周易』의 상(象) 사유가 제공하는 철학적 대안을 모색한다. 장 보드리야르가 진단했듯, 디지털 미디어는 하이퍼리얼리티(Hyperreality)를 심화시켜 현대인의 정체성 및 관계성 문제를 초래했다.
『周易』의 상(象)은 실재에 뿌리내린 ‘충만한 허(虛)’로서, 시뮬라크르의 공허한 기호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태극의 ‘무상지상(無象之象)’과 팔괘의 심오한 의미는 이러한 상(象)의 다층적이고 능동적인 의미 생성 특성을 보여준다. 이는 소쉬르의 ‘다층적 기의’와 퍼스의 ‘동적인 기호작용(Semiosis)’으로 설명되며, 상(象)이 ‘진정성 있는 형식’이자 ‘계발 언어’임을 드러낸다.
본 연구는 『周易』상(象) 사유가 세 가지 철학적 대응 방안을 제시함을 논증한다. 첫째, ‘계발하는 상(象)’은 ‘입상이진의(立象以盡意)’와 모종삼의 ‘계발 언어’를 통해 주체적 의미 생성을 가능케 한다. 둘째, ‘통찰하는 상(象)’은 ‘관물취상(觀物取象)’과 ‘쌍궤조응형’ 사유를 바탕으로 본질 통찰을 유도한다. 셋째, ‘변화하는 상(象)’은 ‘생생지위역’ 사상을 통해 끊임없는 변화를 긍정하고, 다산의 변역(變易) 중심 사고와 『周易』의 핵심인 ‘대대(對待)’와 ‘유행(流行)’의 원리로 존재론적 안정성을 확보하며 시중(時中)의 태도를 제시한다.
결론적으로,『周易』의 상(象) 사유는 시뮬라크르 시대의 피상성, 단절, 존재론적 혼란에 대한 근원적인 철학적 대안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周易』의 상(象) 개념이 현대인의 삶 속에서 진정한 자아를 깊이 있게 탐색하고 재고할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s of authenticity confusion, loss of meaning insight, and breakdown of autonomous subjectivity stemming from the simulacra phenomenon in contemporary society. It explores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and practical alternatives offered by the “image” (xiang) thinking of the Yi Jing. As diagnosed by Jean Baudrillard, the advancement of digital media has intensified hyperreality, leading to problems with modern ident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image” (xiang) in the Yi Jing fundamentally differs from the empty signs of simulacra. Grounded in the Confucian aesthetic concept of “emptiness based on fullness” (xu based on shi), the “image” (xiang) possesses the characteristic of “full emptiness” generating and conveying genuine meaning rooted in reality. The “image without image” (wuxiangzhixiang) of Taiji and the
profound meaning within the simplicity of the Eight Trigrams clearly demonstrate this. The attributes of this “image” (xiang) can be lucidly understood through Saussure‘s “multilayered signified” and Peirc’s “dynamic semiosis” revealing the “image” (xiang) as an “authentic form” and “enlightening language” that denotes underlying principles and meanings while inducing active meaning generation.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 “image” (xiang) thinking of the Yi Jing presents three practical responses to the challenges of the simulacra age. First, the “enlightening image” facilitates the creation of subjective meaning. The Yi Jing proposition “establishing images to exhaust meaning” (lipaiyijinyi) acknowledges the limitations of language, emphasizing the “image” (xiang) as a medium for fully expressing meaning (yi), aligning with Mou Zongsan‘s concepts of “content truth” and “enlightening language”. Second, the “insightful image” in contrast to the superficiality of simulacra, guides the discernment of the essence and principles of phenomena through the principle of “observing things and taking images” (guanwuzuxiang) and “dual-track correspondence” (shuanggui zhaoying) thinking. Third, the “changing image” secures ontological stability. The Yi Jing philosophy of “generating life is Yi” (sheng sheng zhi wei yi) affirms continuous change as an inherent part of life. Dasan Jeong Yak-yong’s change-centric thought and the Yi Jing’s core principles of “opposition” (daedae) and “circulation” (yuhaeng) suggest that the Yi Jing presents a generative and fluid reality rather than fixed illusions, thereby offering an approach for accepting change, discerning its essence, and adopting a “timely” (shizhong) attitude.
In conclusion, the “image” (xiang) thinking of the Yi Jing offers a fundamental philosophical alternative to the superficiality, fragmentation, and ontological confusion prevalent in the age of simulacra. This is achieved through a dynamic circulatory process that actively takes the “image” (xiang) of the objective world centered on the subject’s “meaning” (yi), creatively expresses it, and expands the inner self through communication and reconstruction.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exploring the potential of the Yi Jing’s “image” (xiang) concept in enabling contemporary individuals to deeply explore and reconsider their authentic selves.
목차
I. 들어가기
II. 시뮬라크르 시대의 상실 문제
III.『周易』상(象)의 ‘실(實)을 기초로 하는 허(虛)’
IV. 『周易』상(象)의 성격과 시뮬라크르 시대의 대안
Ⅴ. 나가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