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를 위한 계속교육의 의미와 경로
이용수 130
- 영문명
- A Meaning and Paths of Continuing Education for Kindergarten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정수경(Chung, Sookyung)
- 간행물 정보
- 『변형영유아교육연구』제2권 1호, 31~4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의 핵심 요인인 유아교사의 전문성 함양과 학력 고양을 위한 교사교육의 일환으로 유아교사를 위한 계속교육의 개념을 정립하고 활성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평생교육 및 현직교육과의 관계 속에서 계속교육의 일반적 의미를 탐색하였으며, 이를 유아교사의 계속교육 의미로 재 개념화함과 동시에 유아교사를 위한 계속교육의 당위성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를 위한 우리나라 계속교육의 경로를 탐색하여 봄으로써 유아교사의 전문성 함양과 학위취득의 구체적 방법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concept of continuing education, and to activate it for kindergarten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who graduated from a junior college. For this, a general meaning of continuing education was investigated in relation with life-long education and in-service education. Based on a general meaning of continuing education, a specific meaning of it for kindergarten teacher was re-conceptualized with what it should be. By investigating paths of continuing education for kindergarten teacher in Korea, it was presented the ways that improve professionality, and acquire a bachelor's degree for kindergarten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유아교사에게 있어서 계속교육의 의미
Ⅲ. 유아교사를 위한 계속교육의 경로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