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Grammatical Characteristics and Discourse Functions of Sentence Patterns in Academic Texts - Focus on Academic Texts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안소진(So-jin, An)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73輯, 87~10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같은 학문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집단에는 고유의 담화 방식이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는 인용문, 가능표현, 부정표현 등 국어국문학 분야 학술논문에 빈번하게 나타나는 문형을 분석하여 그 문법적 특징을 자세히 밝히고, 이러한 특징을 가진 문형이 왜 학술논문의 구체적인 담화 방식으로 선택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문형들은 기본 기능을 바탕으로 다양한 담화 기능을 구현하며, 이 담화 기능은 의사소통 전략과 관계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학술논문의 필자는 독자, 곧 같은 분야 연구자가 자신의 주장을 최대한 수용하도록 하여 자신의 주장이 담화공동체의 동의를 얻는 궁극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 목표를 위해 의사소통 전략을 활용한다.
영문 초록
Linguistic expression above the sentence unit is commonly called discourse. Provided that a certain community uses a particular discourse method, it can represent a discourse community. A certain community's discourse has its unique communication method agreed by community members. Such distinct discourse method also exists in a group of people involved in the same academic area. This paper analyzes sentence patterns of academic texts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o clarify their grammatical characteristics, thereby exploring why those sentence patterns with such characteristics are chosen as specific discourse method for academic texts. Consequently, it reaches the conclusion that those sentence patterns embody various discourse functions grounded upon basic functions in academic texts and such discourse functions are connected with communicative strategies. Authors of academic texts have an ultimate goal to make readers, namely other researchers engaging in the same area, accept their argument to the maximum extent and arouse consensus from the discourse community, and they utilize communicative strategies for such goal.
목차
<국문초록>
1. 서 론
2. 학술논문 문형의 문법적 특징과 그 담화 기능
3. 학술논문 문형의 담화 기능과 학문공동체의 의사소통
4.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소월 시의 언어미학적 특성 연구
- 한ㆍ중 초기 모더니즘 시론의 비교 연구
- 정선방언 운율유형에 관한 연구
- 허균 문학 의식의 기원
- 광고언어의 동음이표기(同音異表記)에 대하여
- 1910년대 초반 서사적 계몽성의 마지막 모습
- 미주 지역 한인의 국어교육 전개양상
- 학술논문 문형의 문법적 특징과 담화 기능에 대하여
- 추정과 비추정의 ‘-겠-’의 의미
- 해방 이후 한국인 이름의 특성 및 변천 양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 유치환의 자연시 연구
- 조선후기 通信使의 贐章 연구
- 玉所 權燮의 演戱詩 考察
- 일제강점기 3대 전래동화집의 성격과 그 편찬 배경
- 雪峯 姜栢年의 漢詩 硏究
- 淸陰 金尙憲의 遊仙詩 小考
- 『독립신문』소재 『애국가』 의 텍스트 언어학적 특징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