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충북지역 도시여성의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의생활양식
이용수 11
- 영문명
- Women’s Fashion Lifestyle according to Family Life Cycle in Chungbuk Province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권수애(Kweon, Soo-Ae)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8권 2호, 241~25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clothing and consumption, depending upon family life cycle, we chose 1,200 females, who live in Chong-ju and Chung-ju.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most families, ₩80,000 on average was spent on clothing a month and the amount spent on that yearl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family life cycle. The expenditure was highest when their children became adults, and also got married. 2. In the study on the purchasing place, they all used the agents and the permanent discount stores, but the kinds of the clothes purchased varied in each place. Depending on the regions, the clothes bought in the store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Chong-ju, all clothes were bought more in department stores than in permanent discount stores; on the other hand, people in Chung-ju used clothing agents more often than department stores. 3. In the study on using non-store retailer when they would buy household good and clothes, in case of clothes they used CTV and catalogues; on the other hand, cultural goods were purchased more on the internet. 4. In analyzing the factors to comprise the patterns of life in clothing, the study showed that they were composed of aesthetic aspect, fashion and the attention of appearance, reasonableness and economical efficiency, and the symbol of social status, and so on. As a whole, aesthetic aspect was the highest of all, and the symbol of social position, the second and reasonableness and economical efficiency, the third and fashion and the attention of appearance, the last. This means that the females in Chung-buk are apt to think of clothes as the expression of their beauty and the symbol of their social status. 5. The styles of life in clothing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the family life cycles, but they show little difference in the case of region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사회지능, 어머니의 양육태도, 부모의 부부갈등과 아동의 또래 가해 및 피해성향
- 장애유형에 따른 장애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주관적 삶의 질
- 코르셋의 상징성과 현대패션에서의 표현성
- 충북지역 도시여성의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의생활양식
- 가공식품 영양표시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지 및 활용 실태
- 유아기 자녀의 놀이에 대한 부모의 인식 연구
- 어머니의 취업, 사회적 지지와 아동방임
- 충북대학교 교내 상가 서비스 개선 방안
- 청주지역 주부들의 수입식품에 대한 인식도 및 이용실태
-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일상생활 스트레스, 배우자 및 사회적 지지가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건강한 실내환경을 위한 국내 주택자재 시장현황
- 대학생의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엽산 영양상태, 영양소 섭취 및 생활습관과의 관련성
- 아버지의 심리적 자세 및 역할수행과 유아의 사회ㆍ정서적 발달
-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결혼만족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 경기지역 대학생의 가공 판매되는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이용 실태
- 대학생의 돈에 대한 태도 및 물질주의 성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