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햄릿』에 재현된 텍스트성 무의식
이용수 676
- 영문명
- The Textual Unconscious Represented in Hamlet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박찬부(Park Chan-Bu)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영미어문학 제104호, 235~24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essay is a reading of the textual unconscious represented in Hamlet in terms of the Freudian oedipal drama and the Lacanian paternal metaphor, two seminal theories of psychoanalysis.
Arguably, this time-tested masterpiece is a drama of tragedy, with its hero lingering in the hour of the Other and at the mercy of the desire of the Other.
The present essay approaches this tragediness, drawing attention to “the foul and most unnatural murder” and “that incestuous, that adulterate beast,” the words that the ghost of Hamlet’s deceased father expresses. This unnatural murder and incestuous adultery, which are familial avatars of the death drive(Thanatos) and Eros,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rimes Oedipus committed to Laius and Jocasta, respectively, in Oedipus Rex.
In this drama of tragedy, Hamlet, who re-enacts tragically the role of the classic hero Oedipus with regard to his parents, unconsciously identifies himself with Claudius, “the great opposite.” In the unconscious identifications of the three tragic characters, the ‘Hamlet problems,’ including the postponement of revenge, emerges. Th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are made possible only through access to the Phallus, the lethal/fatal/mortal signifier, as Lacan emphasizes repeated1y: “It is a question of the phallus, and that’s why he will never be able to strike it, until the moment when he has made the complete sacrifice of all narcissistic attachments, i. e. when he is mortally wounded.” At the last moment, Hamlet succeeds in having access to the fatal phallic signifier.
목차
인용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햄릿』에 재현된 텍스트성 무의식
- 게일 존즈의 『코레지도라』에 나타난 세대 간 외상의 전달과 치유
- 메타역사적 시각들과 우연성
- 영문학교육에서 비평과제물의 효율성 연구
- 장애와 어거스트 윌슨
- 성과 관련된 영어의 성차별 표현
- Children of A Lesser God에 나타난 청각장애인의 정체성
- 추상성, 상상력 그리고 무의미
- “육 천만 이상”을 위한 한 판의 굿, 『빌러비드』
- What Makes Ethan to Wander in The Searchers?
- 권력과 욕망의 반복적 투쟁 공간
- 일치와 이동
- 더블유 에스 머윈과 들뢰즈의 기억
- 전복적 상상력: 아나키즘적 유토피아에서 전체주의적 디스토피아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