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hildren of A Lesser God에 나타난 청각장애인의 정체성
이용수 86
- 영문명
- Deaf Identity in Children of A Lesser God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박미령(Park, Miryong)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영미어문학 제104호, 167~18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disability and deafness, analyzes deaf problems, and examines Sarah’s effort in reestablishing deaf identity in Mark Medoff’s Children of A Lesser God, which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successful plays to deal with deafness. The play portrays deaf life in the late 1970s. The playwright showcases deaf identities to shine a light on the reality of the deaf who have been neglected by society. Thus, Medoff suggests a deaf disability discourse to overcome the existing stereotype through the story of a deaf heroine. Sarah, who is deaf, refuses to make sacrifices and conform to the existing society, and demonstrates a strong will to establish a deaf identity.
In the play, Medoff exemplifies a deaf’s will to lead demonstrations against a hearing world and defend their right through an apprentice teacher, Orin. Medoff also lets society know about the existence of the Deaf community as a minority group. Although Sarah is deaf, she has an intense sense of sovereignty and independence, for her culture, namely for the Deaf community. James tries to teach her his language, but she refuses to learn it. However, in the long run Sarah and James agree to work together in order to help each other dismiss stereotypes from their minds and reside in another place; not in silence or in sound but somewhere else. Therefore, Medoff’s play is significant in revealing the hidden reality of the deaf to the world.
목차
Ⅰ. 서론
Ⅱ. 신체장애와 청각장애
Ⅲ. 사라의 청각장애인 정체성
Ⅳ. 결론
인용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햄릿』에 재현된 텍스트성 무의식
- 게일 존즈의 『코레지도라』에 나타난 세대 간 외상의 전달과 치유
- 메타역사적 시각들과 우연성
- 영문학교육에서 비평과제물의 효율성 연구
- 장애와 어거스트 윌슨
- 성과 관련된 영어의 성차별 표현
- Children of A Lesser God에 나타난 청각장애인의 정체성
- 추상성, 상상력 그리고 무의미
- “육 천만 이상”을 위한 한 판의 굿, 『빌러비드』
- What Makes Ethan to Wander in The Searchers?
- 권력과 욕망의 반복적 투쟁 공간
- 일치와 이동
- 더블유 에스 머윈과 들뢰즈의 기억
- 전복적 상상력: 아나키즘적 유토피아에서 전체주의적 디스토피아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