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결혼이민자의 화행 사용 양상에 관한 연구
이용수 543
- 영문명
- A Study on the Aspects of Usage of Speech Acts for Female Marriage-Immigrant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김선정(Kim, Seon-jung) 강현자(Kang, Hyun-ja)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81輯, 331~36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peech acts teaching is perform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emale marriage-immigrants through the Korean language text books which are developed for them. This study also aims at analyzing the rate of the similarities between real speech acts of female marriage-immigrants and the sentence patterns including speech acts in the textbook, and then to endeavor the right device for teaching speech acts with the results based on this research.
In the textbook for female marriage-immigrants, a function and sentence patterns of speech acts are presented by one-to-one correspondence, some of these correspondences are shown in the sentences of speech acts including grammatical meanings. Some of them are presented with a mix of context and speech acts, and some of them are not relevant. These correspondences show a big difference when compared with the real speech acts of female marriage-immigrant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learning contents considered concrete and practical situations of discourse and the list of sentence patterns classified by the typical functions of speech acts are needed to improve the ability of using speech acts. Also, it is suggested that, considering practical use, the situations of speech acts and sentence patterns should be presented in the textbook flexibly.
목차
1. 머리말
2. 선행 연구
3.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화행 교육 현황
4. 여성결혼이민자의 화행 사용 양상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高麗詞之事」에 나타난 구개음화 양상에 대하여
- ‘훼절 모티프’를 통해 본 장르적 특성
- 에코페미니즘 시 연구
- 최승자의 『이 時代의 사랑』에 나타난 시적 언술의 정신병리적 고찰
- 텍스트의 이해 방법 및 요약의 과정 연구
- 대학의 글쓰기에서 학문적 글쓰기 교과의 위상
- ‘무단’계 동음이의어의 어휘사
- 여성결혼이민자의 화행 사용 양상에 관한 연구
- 연암의 광문전승에 나타난 서사구조와 지향의식
- 판소리의 근대적 재생산에 관한 연구
- 동화(童話) 재창작에 나타난 심층적 의미 연구
-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능력 연구
- 현대국어의 의미 변화에 대하여(2)
- 〈박가구촌의 유래〉에 나타난 남매혼 설화의 변이 양상
- 호ㆍ지칭접미사 ‘-님’과 의존명사 ‘님’의 상관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