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duct Evaluation and the Brand-Image of Jean Brand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전영미(Young-Mi Chon) 정명선(Myung-Sun Chung)
- 간행물 정보
- 『生活科學硏究』家政科學硏究 第6輯, 65~7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12.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jean brand image according to product evaluation such as brand purchasing experience, perceived quality, perceived value and purchasing intention. In addition, brand awareness, brand preference, brand satisfaction after purchasing were also investigated.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500 high school students and undergraduate students. Data from 430 responden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percentage,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Brnad-awareness ranked highly in the Bang-Bang and displayed following ranks as GUESS, Levi’s, Lee. C.K, GET USED, OPT. M.F.G.
2. Brnad-preference ranked highly in the Levi’s and displayed following ranks as GET USED, OPT, GUESS, C.K, Lee, M.F.G, Bang-Bang.
3. Brand-image evaluative attribu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rand experience group and non-experience group except price at more than the level of p≤.05.
4. Brand-image evaluative attributes affected to partially perceived quality, perceived value, purchasing intention at more than the level of p≤.05.
5. Brand-awarenes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rand-preference, perceived quality, perceived value, purchasing intention and purchasing experience at more than the level of p≤.01. Brnad-preferenc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lationship to perceived quality, perceived value, purchasing intention at more than the level of p≤.05. Percevied qualit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erceved value and purchasing intention at the level of p≤.05.
But Purchasing experience negative correlated with brand-preference, perceived quality, perceived value, purchasing intentio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결과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셀룰라아제 처리에 의한 면직물의 개질
- 취업주부가 지각하는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와 기대, 만족도
- 편모가족의 심리적 복지 고찰
- 저장온도에 따른 쌀가루 겔의 노화속도
- 벨지움의 주거공간 사용행태에 대한 연구(Ⅰ)
- 키토산 처리가 면 및 면혼방 직물의 염색성에 미치는 영향
- 청바지의 제품평가와 상표이미지에 관한 연구
- 시선을 끄는 여성의 의복에 대한 남성들의 성적자극 인지도와 수용도
-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관련변인
- 효율적인 부부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결혼초기가계와 중기가계의 투자행동 비교
- 1990년대 fashion에 나타난 여성수트의 형식적 특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온라인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한 집밥의 인식 변화 연구: 코로나19를 중심으로
- 식품업체의 ESG 경영활동과 기업이미지 및 지속 이용의도와의 영향 관계 연구
- 얌빈 가루를 첨가한 연어스프레드의 품질특성: 혼합물 실험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