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n the Sensory Properties of Kimchi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金京愛(Kyung-Ae Kim) 李貞善(Joung-Sun Lee) 金榮子(Young-Ja Kim)
- 간행물 정보
- 『生活科學硏究』家政科學硏究 第3輯, 51~6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3.12.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김치의 양념이 한국인과 일본인의 관능적 특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주된 양념인 고추가루, 마늘, 생강, 파, 설탕 및 젓갈을 한 가지씩 빼고 제조한 김치를 10℃에서 10일간 숙성시키면서 숙성 기간별 (0, 5, 10일) 김치의 이화학적 성질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염도는 1.63-2.38%이었으며 pH는 숙성이 진행되면서 5.48-5.92에서 4.24-4.63으로 감소하였으며, 적정 산도는 점차 증가하였다. pH는 고추가루 무첨가 김치와 파 무첨가 김치에서 숙성 5일까지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그 후 급격히 설탕 무첨가 김치와 마늘 무첨가 김치가 가장 완만하였다.
양념에 따른 김치의 관능적 특성은 제조일에는 대조군, 고추가루 무첨가 김치 및 마늘 무첨가 김치에서 한국인과 일본인 사이에 큰 차이를 보였으나 숙성 10일에는 고추가추 무첨가 김치와 제조일의 경우 마늘 무첨가 김치에서 차이를 보였다. 고추가루 무첨가 김치 한국인은 색과 매운맛, 종합적인 맛이 낮게 평가되었으나 숙성 10일에는 색에서만 마늘 무첨가 김치에서는 종합적인 맛이 한국인이 더 낮게 평가되었다. 숙성기간에 따른 김치에서는 양념에 관계없이 한국인은 숙성에 따른 신맛을 뚜렷이 구별하였으나 일본인은 신맛의 차이를 거의 구열하지 못했다. 양념과 숙성에 따른 김치에서 한국인은 고추가루 무첨가 김치를 가장 나쁘게 평가하고 있는 반면 일본인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문 초록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sensory properties of Korean and Japanese on each ingredients(red pepper, garlic, ginger, green onion, sugar or salted anchovies and shrimps) deleted Kimchis.
Saltiness of Kimchis was 1.63-2.38% and pH of Kimchis was decreased from pH 5.48-5.92 to 4.24-4.63 during fermentation. The pH of red pepper deleted Kimchi and green onion deleted Kimchi was not changed on the fifth day, but it was suddenly decreased on the 10th day. Titratable acidity was gradually increased, it was slowly increased in sugar deleted Kimchi and garlic deleted Kimchi. The sensory properties of Korean and Japanese showed difference in control, red pepper deleted Kimchi and garlic deleted Kimchi on the preparation day, but it was difference in red pepper deleted Kimchi and garlic deleted Kimchi on the 10 fermentation day. It was lower evaluated that color, hot taste and overall eating quality in red pepper deleted Kimchi. Overall eating quality of Korean was lower than that of Japanese in garlic deleted Kimchi. During the whole fer mentation period, Korean showed difference of sourness but Japanese didn’t.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요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