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 외 화장품업체의 유니폼 디자인 현황 조사
이용수 78
- 영문명
- A Study on the Uniform Design of Domestic and Foreign Cosmetic Brand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정경희(Chung, Kyung Hee) 이미숙(Lee, Mi Sook) 김은영(Kim, Eun Young)
- 간행물 정보
- 『生活科學硏究』生活科學硏究 第18輯, 87~9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present state of uniform design of cosmetic brands for providing the basic information of uniform design. The subjects of study were 27 cosmetic brand tenants of department stores located in Gwangju. The period of research was from March 24 to 27, 2008.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ile 19 cosmetic brands of the subjects put on uniforms, 8 did not. Second, cosmetic salespersons usually wore two-piece or three-piece suits and almost 80% of cosmetic brands chose a white or black color. Third, most brands used a contrast or accent color scheme. Fourth, for accessories, only one of domestic brands wore a scarf. On the other hand, the half of foreign brands wore one and more various accessories like a necklace, a belt, a brooch, etc.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domestic cosmetic brands used monotonous items for uniforms and most of them did not wear fashion accessories. While foreign cosmetic brands wore differentiate uniforms between the brands by using various items for uniforms and coordinating various fashion accessories which use logo or symbol of brand.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국내·외 화장품업체의 유니폼 디자인 현황 조사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광주시 일부 남자 고등학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식습관 및 식행동에 관한 연구
- 저출산 정책의 새로운 관점과 접근방식
- 여중생의 신체인식과 실제체형과의 관계
- 세계의 물 부족 문제와 해결 방안
-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
- 국내 · 외 화장품업체의 유니폼 디자인 현황 조사
- 고구마 품종별 영양 및 색소 성분과 항산화활성
- 광주광역시 충효동 성안마을의 식생활 조사연구
- 전남지역 초등학교 영양사의 절식(節食) 활용도
- 대학생들의 원가족 경험이 가족다양성 수용도 및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 민간 소비자단체의 청소년 소비자교육 현황과 발전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