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대학생의 지역주의
이용수 181
- 영문명
- University Student's Political Regionalism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박희봉(朴熙峯)(Hee-Bo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10권 제3호, 157~17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젊은 세대를 대표하는 한국 대학생들의 지역주의를 살펴보았다. 수도권을 대표하는 서울과 영남지역을 대표하는 대구, 호남지역을 대표하는 광주, 그리고 충청권을 대표하는 대전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치관과 정치이념, 정치참여, 투표행태 등을 비교하여 한국의 젊은 세대에서의 지역주의가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구지역 대학생은 타지역 학생들보다 자유주의 성향이 높았고, 평등주의 가치에 있어서는 낮은 성향을 보인 반면, 광주지역 대학생은 자유주의 성향이 낮았고, 평등주의 가치가 높은 성향을 보였다. 둘째, 서울지역 대학생의 정치활동이 다른 지역 대학생에 비해 적극적이었다. 셋째, 대통령선거와 국회의원선거에서 대구지역 대학생은 타지역 대학생보다 확연하게 투표율이 높았고, 광주지역 대학생들의 투표율은 확연하게 낮았다. 넷째, 대구지역 대학생의 여당 대통령 및 국회의원 지지율은 타지역 대학생보다 확실히 높았고, 광주지역 대학생의 여당 후보자 지지율은 확연하게 저조하였다. 다섯째, 중앙정부 차원의 정부신뢰에 있어서는 여당 우세 지역인 대구지역 대학생들의 정부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야당 우세 지역인 광주지역 대학생들의 정부신뢰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단, 광역자치단체 및 기초자치단체 신뢰도에 있어서는 대구지역 대학생은 중앙정부와 마찬가지로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온 반면, 신뢰도가 가장 낮게 나타난 응답자는 대전지역 대학생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Korean student's political regionalism. It attempts to compare the student's values, political ideology, political participation, and voting behavior in Seoul, Daegu, Daejon, and Gwangju. This research finds that the students in Daegu are more liberalistic than those in other regions, while the students in Gwangju are more equalistic than those in other regions. Second, the students in Seoul are more active in political movement than those in other regions. Third, the voting rate of Daegu students is higher than those of other regions, while the rate of Gwangju students is lower than those of other regions. Fourth, the students in Daegu support more the government party candidates in presidential and parliamental elections than those in other regions, while the students in Gwangju support lower the government party candidates than those in other regions. Fifth, the students in Daegu trust more the central government than those in other regions, while the students in Gwangju trust lower the government than those in other regions. However, while the students in Daegu trust more the local government than those in other regions, the students in Daejon trust lower the government than those in other regions.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논의
Ⅲ. 분석 틀 및 측정
Ⅳ.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한 산림가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 지방정부 여성정책 추진실적의 성과
- 국가 연구개발투자와 과학기술지식기반의 환경변화에 관한 비교분석
- 지방자치단체 유형별 지방의회 의정비의 적정 규모에 관한 비교 연구
- 장애인의 공직 취업 확대 방안
- 한국 대학생의 지역주의
- 평가지표에 의한 정책평가의 인과성 제고 연구
- 기초자치단체 산업정책의 선택과 집중
- 사회통합을 위한 갈등관리제도의 발전방향
- 공공행정에 대한 행정학적 정의
- 경제자유구역(인천 · 부산 · 광양만)의 P · D · S 성과분석과 제도적 개선연구
- 지역균형발전으로서 광역경제권 정책의 쟁점
- 비선호시설의 입지선정에 따른 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 지방재정공시 제도에 관한 인식조사
- 부동산 가치형성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지방의원 보좌기능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청년층 고용동향분석 및 고용정보 제공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접근 및 정보활용 분석
- 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착지원정책 합리화의 함의도출을 위한 인식조사
- 지방의회 의정활동의 평가와 활성화방안
- 노인의 정보활용 실태를 통해 본 지역정보화사업의 쟁점
- 캐나다 이주민 거주지역의 초기 집중과 공간적 확산
- 지방재정의 건전성 분석에 관한 연구
- 한국군 이미지와 복무 선호도와의 연계 가능성에 관한 연구
- 공무원 인식조사를 통한 정부업무평가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부모의 주말근무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학습 및 여가시간: 시간일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