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공행정에 대한 행정학적 정의
이용수 201
- 영문명
- A Defini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as A Discipline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고재학(高在鶴)(Jae Hak Koh)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10권 제3호, 39~5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자는 최소한 행정개념에 대한 정의가 일반화 될 수 없다고 하더라도, 공간적, 시간적인 제한 속에서의 행정개념에 대한 통합된 정의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았다. 한국행정을 연구하는 학자들 조차도 이러한 통합된 정의를 끌어내지 못한다면, 한국행정학의 학문적 성격에 관한 정체성이 상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비록 미국에서 행정학이 태동하여 발전했다고 하더라도, 그 정체성은 우리가 찾아 낼 수도 있지 않겠는가? 이를 위하여 국・내외 학자들의 행정에 대한 정의를 분석하고 공공행정은 관리와 공공정책을 포괄한다는 통합적 정의를 유추하였다. 본 연구는 분명 객관성에서 비판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내린 행정개념의 정의가 한학자의 개인적 소신이라고 치부되어 질 수도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행정학을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 연구하는 학자들 간에 통합된 정의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며,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에 대한 시론적 연구로서 그 가치가 평가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I think that even if don't generalize a defini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at least, it's need a integration various opinions on the concept of public administration. Because If don't take drag a interational definition out in the korea public administration scholars, a study of the korea public administration maybe loss of it’s identity as a own right. Even if the public administration started in the USA, I think that can it maybe find out that's identity by korea scholars? For this reason, I analysised various definition of scholars at home and abroad, and did analogical interpretation as like that public administration have included management and public policy. But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critical of objectivity. Nevertheless, I think that it's need find out identification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as a study. So that, I hope to evaluate this study as meta-study on the defini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to the other scholars.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공공행정의 정체성에 관한 논의
Ⅲ. 연구방법
Ⅳ. 기존 학자의 공공행정 정의에 대한 분석
Ⅵ.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한 산림가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 지방정부 여성정책 추진실적의 성과
- 국가 연구개발투자와 과학기술지식기반의 환경변화에 관한 비교분석
- 지방자치단체 유형별 지방의회 의정비의 적정 규모에 관한 비교 연구
- 장애인의 공직 취업 확대 방안
- 한국 대학생의 지역주의
- 평가지표에 의한 정책평가의 인과성 제고 연구
- 기초자치단체 산업정책의 선택과 집중
- 사회통합을 위한 갈등관리제도의 발전방향
- 공공행정에 대한 행정학적 정의
- 경제자유구역(인천 · 부산 · 광양만)의 P · D · S 성과분석과 제도적 개선연구
- 지역균형발전으로서 광역경제권 정책의 쟁점
- 비선호시설의 입지선정에 따른 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 지방재정공시 제도에 관한 인식조사
- 부동산 가치형성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지방의원 보좌기능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청년층 고용동향분석 및 고용정보 제공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접근 및 정보활용 분석
- 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착지원정책 합리화의 함의도출을 위한 인식조사
- 지방의회 의정활동의 평가와 활성화방안
- 노인의 정보활용 실태를 통해 본 지역정보화사업의 쟁점
- 캐나다 이주민 거주지역의 초기 집중과 공간적 확산
- 지방재정의 건전성 분석에 관한 연구
- 한국군 이미지와 복무 선호도와의 연계 가능성에 관한 연구
- 공무원 인식조사를 통한 정부업무평가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부모의 주말근무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학습 및 여가시간: 시간일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