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의 공직 취업 확대 방안
이용수 61
- 영문명
- Policy Measures for Promoting the Disable in Governmental Sector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노진덕(Jindeok No)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10권 제3호, 119~13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관련법 시행 이후 장애인 취업욕구 증대 및 사회적 평등의식 확산 등의 변화가 왔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 고용은 법정비율에 미치지 못하는 현실을 파악해보고, 장애인고용제도의 법・제도 운영상의 문제점을 파악해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고용부담금 부과 등 제제수단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업장에서 답보상태에 머물러있는 장애인의 고용문제 해결을 위해 「지방분권특별법」에 따라 장애인복지사업의 지방화가 본격적으로 시행되어 ‘모범 고용주’로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증대되는 현실에 주목해 지자체에서 시행 가능한 장애인 고용문제 해결방안을 제안하였다.
장애인 고용과 관련한 지자체의 독립적인 제도, 조직, 지침 구비는 향후 장애인 취업 욕구증가가 가져올 민원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장애인 고용관련 프로그램을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 공공근로에서 벗어나 지역의 각종 단체들과 연계한 정기적인 접촉과 관계 발전 방안 제안. 둘째, 지자체의 직접고용 증진 방안으로 시범사업의 확대, 교부세 차등 지급 등의 법・제도적 유인장치 마련 및 인식개선 방안 등을 제안. 셋째, 인턴제, 사회적 일자리 창출과 함께 예산지원을 통한 간접고용의 방안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Since the disable-rated laws enacted, the needs of the disable for getting jobs have grown along with social equity promotion in the governmental level. But the state of their getting jobs remains unchanged. This study analyses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poses the policy alternatives to promote their the opportunities of getting jobs. The existing representative institution to promote their getting job is Penalty for Violation of Mandatory Employment Ratio of the Disable. But it has not worked as successfully as expected originally. After Special Law of Decentralization was enacted, the duty of hiring the disable in governmental side has been transferred to local governments. And thus the roles of local governments are essential. Their various efforts and policy measures are demanded as the followings. The enlargement of direct employment in the governmental sector, the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Local Share Tax, the promotion of indirect employment in the non-governmental sector by means of governmental financial aids, and so on.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장애인 고용에 대한 이론적 고찰
Ⅲ. 장애인 고용실태 분석
Ⅳ.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 고용실태 분석
Ⅴ. 장애인의 공직진출 확대 방안
Ⅵ.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한 산림가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 지방정부 여성정책 추진실적의 성과
- 국가 연구개발투자와 과학기술지식기반의 환경변화에 관한 비교분석
- 지방자치단체 유형별 지방의회 의정비의 적정 규모에 관한 비교 연구
- 장애인의 공직 취업 확대 방안
- 한국 대학생의 지역주의
- 평가지표에 의한 정책평가의 인과성 제고 연구
- 기초자치단체 산업정책의 선택과 집중
- 사회통합을 위한 갈등관리제도의 발전방향
- 공공행정에 대한 행정학적 정의
- 경제자유구역(인천 · 부산 · 광양만)의 P · D · S 성과분석과 제도적 개선연구
- 지역균형발전으로서 광역경제권 정책의 쟁점
- 비선호시설의 입지선정에 따른 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 지방재정공시 제도에 관한 인식조사
- 부동산 가치형성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지방의원 보좌기능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청년층 고용동향분석 및 고용정보 제공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접근 및 정보활용 분석
- 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착지원정책 합리화의 함의도출을 위한 인식조사
- 지방의회 의정활동의 평가와 활성화방안
- 노인의 정보활용 실태를 통해 본 지역정보화사업의 쟁점
- 캐나다 이주민 거주지역의 초기 집중과 공간적 확산
- 지방재정의 건전성 분석에 관한 연구
- 한국군 이미지와 복무 선호도와의 연계 가능성에 관한 연구
- 공무원 인식조사를 통한 정부업무평가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부모의 주말근무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학습 및 여가시간: 시간일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