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캐나다 이주민 거주지역의 초기 집중과 공간적 확산
이용수 101
- 영문명
- Early Concentration of Immigrant Residence and Spatial Expansion in Canada: A Search for Integration Factors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강휘원(姜輝遠)(Hwi-Won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10권 제3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소수집단의 급속한 성장은 그들을 기존 주류사회로의 통합시키는 것에 대한 관심사를 제기 한다. 통합을 개념화하고 측정하는 데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지만, 이 연구는 공간적 통합(spatial integration)에 초점을 맞춘다. 다문화사회의 통합 논의에 대해 비교적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캐나다에 거주하는 소수인종집단들의 정주 경향의 시간적 변화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이민자들이 3대 대도시(Toronto, Montreal, Vancouver)를 벗어나 다른 도시로의 공간적 확산되면서 기존 주류사회 속으로의 동화되어 가는 경향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으로는 캐나다의 소수인종 가운데서 가장 큰 인종집단을 이루는 중국계(Chinese)와 남아시아(South Asian) 인종들의 거주유형을 1991년 센서스부터 2006년 센서스 자료를 통해 분석하며, 분석단위는 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에 의해 분류되는 대도시(Census Metropolitan Areas, CMAs) 가운데서 2006년 현재 전체인구의 1% 이상 되는 인구를 가진 15개의 CMAs를 대상으로 한다. 시계열자료의 분석결과 주로 3대 대도시에 집중하던 집단거주지역이 점차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은 다른 CMAs로 확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들 집중과 분산의 이론적 요인으로는 초기 이민 당시의 사회경제적 요인, 이민자의 환경 적응 능력, 노동시장의 접근성, 분산의 자발적 요인, 정착지원 및 다문화정책과 같은 정부정책 등을 들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rapid growth of minority populations in Canada has raised the issue of integrating them into Canadian society. Although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integra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oncept of spatial integration. The goal is to examine the trend of assimilation of racial minorities into Canadian society by analyzing temporal changes of their concentration in the 3 largest metropolitan cities (Toronto, Montreal and Vancouver) and their dispersion into other cities. This research analyzes the residential trends of Chinese and South Asians who are the first and second largest racial minority groups in Canada, respectively, by observing time series data between 1991 and 2006 of the population census. The units of analysis are 15 CMAs (Census Metropolitan Areas) classified by Statistics Canada, which account for 1% or more of the entire population in 2006.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enclaves of racial minorities in the 3 largest metropolises have gradually diffused into less populated CMAs. Their early concentration and subsequent dispersion through adaptation into Canadian society can be explained by socioeconomic factors, adaptability to new environment, accessibility to labor market, voluntary pursuit of new resident areas, multicultural policies, and so on.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인종공동체 문제와 사회통합
Ⅲ. 소수인종 공동체의 지리적 분포
Ⅳ. 소수인종 공동체의 거주지역 인구 변화율 분석
Ⅴ. 소수인종 거주지역의 집중과 분산 요인의 논의
Ⅵ.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한 산림가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 지방정부 여성정책 추진실적의 성과
- 국가 연구개발투자와 과학기술지식기반의 환경변화에 관한 비교분석
- 지방자치단체 유형별 지방의회 의정비의 적정 규모에 관한 비교 연구
- 장애인의 공직 취업 확대 방안
- 한국 대학생의 지역주의
- 평가지표에 의한 정책평가의 인과성 제고 연구
- 기초자치단체 산업정책의 선택과 집중
- 사회통합을 위한 갈등관리제도의 발전방향
- 공공행정에 대한 행정학적 정의
- 경제자유구역(인천 · 부산 · 광양만)의 P · D · S 성과분석과 제도적 개선연구
- 지역균형발전으로서 광역경제권 정책의 쟁점
- 비선호시설의 입지선정에 따른 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 지방재정공시 제도에 관한 인식조사
- 부동산 가치형성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지방의원 보좌기능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청년층 고용동향분석 및 고용정보 제공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접근 및 정보활용 분석
- 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착지원정책 합리화의 함의도출을 위한 인식조사
- 지방의회 의정활동의 평가와 활성화방안
- 노인의 정보활용 실태를 통해 본 지역정보화사업의 쟁점
- 캐나다 이주민 거주지역의 초기 집중과 공간적 확산
- 지방재정의 건전성 분석에 관한 연구
- 한국군 이미지와 복무 선호도와의 연계 가능성에 관한 연구
- 공무원 인식조사를 통한 정부업무평가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부모의 주말근무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학습 및 여가시간: 시간일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