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라지역 정자건축의 배치 및 평면 유형 특징에 관한 연구
이용수 226
- 영문명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osition and Plan Type in Jeonra District's Jeong-Ja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 저자명
- 최경란(Kyung-Ran Choi) 김상협(Sang-Hyup Kim) 조윤성(Yun-Seong Cho)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vol.1 no.2, 45~6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 전통건축 중 궁궐이나 주택, 사찰, 서원 등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지만, 이에 반해 정자에 관한 연구는 저조한 편이다. 정자는 앞에서 언급한 건축물들에 비해 실제 생활의 공간으로 쓰이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연과 함께 하는 삶 그리고 휴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하면서, 정자에 대한 관심도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정자건축은 그 입지 및 배치가 매우 중요하다. 정자 자체만을 즐기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함께 어우러지는 건축물이기 때문이다. 고로 정자의 구성 및 평면이 개방되어 있는 정도에 따라서 주변 풍경을 조망할 수 있는 조건이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정자의 활용도가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라지역 정자건축의 배치 유형을 분류하여 특징을 알아보고, 배치에 따라 평면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파악한다. 또한 전라지역 정자건축의 평면 유형이 시대별로 변화해 온 과정 및 정자 내 공간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Research for Korea traditional Architecture Palace, House, Buddhist temple is gone vigorously. But, research
about Jeong-Ja is less. Jeong-Ja is less case used by actuality life-space comparing to other architecture. But, as interest about a rest which partake with nature rises, interest about Jeong-Ja is increasing slowly.
The position of Jeong-Ja architecure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architecture that join with nature.
Condition that can see surrounding scenery according to Jeong-Ja’s organization and plan’s open is become
different, and practical use degree of correct characters can change according to this.
This study searches feature sorting Jeong-Ja of Jeonra district’s position type hereupon, and grasp whether
some connection is to position type and plan type. Also, search process that Jeong-Ja of Jeonra district’s plan
type changes by age about my space use method.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정자건축의 입지와 조영관
3. 정자건축의 배치 및 평면유형 분류
4. 정자건축의 공간 특징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