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People’s Market and the Reform in North Korea
- 발행기관
-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 저자명
- 정은미(Jeong, Eun Mee)
- 간행물 정보
-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논문집』제3호, 285~31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view the North Korean reform and opening through researching people’s market(‘nongmin’ market) emerging as an important sphere in North Korea recently. I first reviewed the theoretical discussions concerning how to explain people’s market in the socialist system, next, traced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s of its development. Finally, I analyzed the underlying social structural changes occurred by the changes of people’s market. As the economic difficulties were getting more serious in North Korea, people’s market was extended more and more. North Korean authorities kept a silence about these phenomenon. However, as the economy has been restored, the authorities strengthened the control on people’s market again. Faced with the demand of the reform and the open door, North Korea has adhered ‘Socialism of Our style’, which is the empirical and creative way combined ‘self-reliance’ with ‘practicality’ learned from the experiences in China, Vietnam, even Russia and East Europe.
목차
1. 들어가며
2. 농민시장의 설명 개념
3. 농민시장의 역사적 전개과정
4. 1990년대 농민시장의 확대 요인
5. 농민시장의 사회학적 함의
6. 결론: 농민시장의 운명과 북한의 개혁ㆍ개방에 대한 전망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세계관 해석에 근거한 자살 유가족을 위한 애도의 철학상담: 야스퍼스의 『세계관의 심리학』을 중심으로
- 디지털 치료제와 환자의 자율성: 사전동의 과정 재구성을 위한 제언
- 데카르트 윤리학에서 개인의 자유와 상호 존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