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5차 APEC 교육장관회의 의제설정 과정과 의제 프레임워크의 특징 및 정책적 의미의 탐구

이용수  164

영문명
Inquiry into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gendas and the meaning of the agenda framework for the 5th APEC Education Ministerial Meeting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저자명
장환영(Hwan Young Jang)
간행물 정보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7권 제2호, 35~5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제5차 APEC 교육장관회의가 2012년 우리나라 경주에서 개최된 것을 계기로 교육장 관회의의 의제설정 과정과 의제 프레임워크의 특징 및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의제에 대한 탐구가 필요한 것은 교육장관회의에서 논의되었던 여러 주제들이 향후 4년간 아시아 태평양 역내의 회원국들의 글로벌 교육정책 및 인적자원개발 정책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이번 5차 회의에서의 의제 프레임워크는 역대 교육장관회의에서와는 차별화 되는 몇몇 의미 있는 새로운 시도가 돋보인다. 소주제만이 아닌 대주제, 중주제 등을 설정하여 장관회의의 APEC 가치를 명시적으로 드러낸 점, ‘협력’ 어젠다를 전면에 내세워 장관회의의 실천적 의미를 부각하고 경주선언을 통해 실행계획을 도출하도록 한 점, ‘미래의 도전과 교육적 대응’이라는 대주제를 각 주관회원국의 발표양식에도 적용하여 그 통일성 및 거시적 시각을 부각한 것 등은 이번 제5차 APEC 교육장관회의가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논의구조를 제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논문은 장관회의 준비과정에서 보여준 우리나라의 국제역량 및 리더십에 주목하여 향후 글로벌 교육정책에서 APEC의 무대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for the inquiry into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gendas and the meaning of the agenda framework for the 5th APEC Education Ministerial Meeting(AEMM) that was held in Kyeongju, Korea, 2012. To explore the meaning of agendas for AEMM is needed because the agendas provide the directions for the global educational policies and the cooperative projects of the 21 member economies in Asia-Pacific region. The agenda framework of the 5th AEMM introduces the new format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the other past AEMMs, which includes great attention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issues, alignment with APEC values and the agendas of APEC Leaders` Meeting, explicit emphasis on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Meeting, and the clear directions for future actions such as Kyeongju initiative. The research suggests that the government`s strategies promoting global educational projects that aim to the affluent and growing APEC educational market are needed on the basis of the leadership and the competencies that Korea has shown in preparing the 5th AEMM.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APEC 교육장관회의 우리나라 유치의 의미
Ⅲ. 역대 APEC 교육장관회의 의제의 검토
Ⅳ. 제5차 APEC 교육장관회의 의제 설정 과정
Ⅴ. 제5차 APEC 교육장관회의 의제의 의미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환영(Hwan Young Jang). (2012).제5차 APEC 교육장관회의 의제설정 과정과 의제 프레임워크의 특징 및 정책적 의미의 탐구.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7 (2), 35-52

MLA

장환영(Hwan Young Jang). "제5차 APEC 교육장관회의 의제설정 과정과 의제 프레임워크의 특징 및 정책적 의미의 탐구."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7.2(2012): 35-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