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PECT 영상을 사용한 기능적 심근형태의 자동 계측법 개발
이용수 8
- 영문명
- Automated Functional Morphology Measurement Using Cardiac SPECT Images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최석윤(Seok-yoon Choi) 고성진(Seong-Jin Ko) 강세식(Se-Sik Kang) 김창수(Chang-soo Kim) 김정훈(Jung-Hoon Kim)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5권 제2호, 133~13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핵의학 검사에 있어서 심근 관류스캔은 관상동맥질환의 혈역학적 중요성을 평가하는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판독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자동화된 정량적 계측 방법이 추가적으로 제시되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판독에 필요한 심근의 3차원 기능모델과 심근 두께 계산 모델을 제시한다. 개발을 위해서 SPECT로 부터 심장의 단축단면상을 얻었고 전처리를 방정식을 적용하여 좌심근 두께의 모델링을 구현하였다.
실험결과 슬라이스 단축방향 영상으로부터 내벽과 외벽을 계측하는데 성공하였고, 계산된 좌표를 이용해서 3차원 모델링을 구현하였다. 다음 라플라스 식을 사용하여 심벽 두께의 3차원 모델을 완성하였다. 3차원 모델을 통해서 결절 부위가 쉽게 관찰할 수 있고, 3차원 모델의 회전을 통해서 병변의 위치를 빨리 파악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판독 보조지표로서의 개발된 제안된 모델은 보조적 판독정보를 제공하고 오진의 확률을 낮추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허혈성 심장질환 환자의 조기 진단에도 큰 역할을 할 것이다.
영문 초록
For the examination of nuclear medicine, myocardial scan is a good method to evaluate a hemodynamic importa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but, the automatized qualitative measurement is additionally necessary to improve the decoding efficiency. we suggests the creation of cardiac three-dimensional model and model of three-dimensional cardiac thickness as a new measurement.
For the experiment, cardiac reduced cross section was obtained from SPECT. Next, the pre-process was performed and image segmentation was fulfilled by level set. for the modeling of left cardiac thickness, it was realized by applying difference equation of two-dimensional laplace equation.
As the result of experiment, it was successful to measure internal wall and external wall and three-dimensional modeling was realized by coordinate. and, with laplace formula, it was successful to develop the thickness of cardiac wall.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model, defects were observed easily and position of lesion was grasped rapidly by the revolution of model.
The model which was developed as the support index of decoding will provide decoding information to doctor additionally and reduce the rate of false diagnosis as well as play a great role for diagnosing IHD earl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실험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끼 뇌종양 모델에서의 관류 CT 영상에 관한 연구
- Supine Position에서 Modified Y-View의 제안
- 영상변조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흡 위상 간 종양의 움직임 특성 분석
- CsI(TI) Indirect Flat Panel Detector의 선질에 따른 물리적 영상 평가
- SPECT 영상을 사용한 기능적 심근형태의 자동 계측법 개발
- ¹⁸F-FDG PET/CT 검사에서 이뇨제 사용여부에 따른 ¹⁸F-FDG 배설 특성
- 경추 정면 검사에서 방사선 입사각에 관한 연구
- 수도권지역 일반촬영 장비의 정도관리 분석
- 방사선(학)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교과목 중요도 분석
- 핵의학 종사자에서 손 부위의 외부 피폭선량 연구
- Piranha 657의 Internal Detector를 이용한 저에너지에서 유리선량계의 선량 특성에 관한 연구
- 쐐기필터 사용 시 레디오크로믹 필름을 이용한 조직에 따른 선량분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