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방사선(학)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교과목 중요도 분석
이용수 70
- 영문명
-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Subjects to Improve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Radiological Science - Focused on Radiological Technologists -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김정훈(Jung-Hoon Kim) 고성진(Seong-Jin Ko) 강세식(Se-Sik Kang) 김동현(Dong-hyun Kim) 김창수(Chang-soo Kim)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5권 제2호, 125~13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 방사선(학)과의 교과목을 중심으로 임상에서의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과 임상의 방사선사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전문가 집단에는 개방형 설문지를, 방사선사들에게는 질문형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ㆍ분석하였다. 교과목 중요도 분석을 위한 교과목 분류는 9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였고, 변수 측정을 위한 설문구성은 부서, 진료기관 등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9개 영역의 교과목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임상의 방사선사들은 일반촬영, CT, MRI등이 포함된 영상진단기술학 및 실기과목을 임상에서 가장 필요한 과목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문가집단의 경우 전공기초과학 과목에 높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할 때 급변하는 의료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방사선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이론과 실기가 융화된 교육과정의 개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 group of experts and clinical radiological technologists were surveyed to evaluate the clinical importance of current subjects in the radiological sciences. For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group of experts, and a multiple choic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radiological technologists.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9 groups for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subjects, and in regard to the questionnaire design for measurement of variables, departments and type of hospital were set up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9 groups of subjects were set up as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clinical radiological technologists perceived Diagnostic Imaging Technology and practical courses, including general radiography, CT and MRI, as the most clinically necessary subjects, and the group of experts placed most weight on basic courses for the major.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urriculum should be revised in a way that combines theory and practice in order to foster radiological technologists capable of adapting to the rapidly changing healthcare environment.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끼 뇌종양 모델에서의 관류 CT 영상에 관한 연구
- Supine Position에서 Modified Y-View의 제안
- 영상변조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흡 위상 간 종양의 움직임 특성 분석
- CsI(TI) Indirect Flat Panel Detector의 선질에 따른 물리적 영상 평가
- SPECT 영상을 사용한 기능적 심근형태의 자동 계측법 개발
- ¹⁸F-FDG PET/CT 검사에서 이뇨제 사용여부에 따른 ¹⁸F-FDG 배설 특성
- 경추 정면 검사에서 방사선 입사각에 관한 연구
- 수도권지역 일반촬영 장비의 정도관리 분석
- 방사선(학)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교과목 중요도 분석
- 핵의학 종사자에서 손 부위의 외부 피폭선량 연구
- Piranha 657의 Internal Detector를 이용한 저에너지에서 유리선량계의 선량 특성에 관한 연구
- 쐐기필터 사용 시 레디오크로믹 필름을 이용한 조직에 따른 선량분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