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조의 청취적 인식과 실험 음성학적 실측의 상관성
이용수 224
- 영문명
- On the Interrelationship of Perception and Measurement in Tonology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이문규(Moon-kyu, Lee)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72輯, 103~13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성조는 토박이의 인식 차원에 존재하는 변별적이고 대립적인 음고를 기본 단위로 한다는 점에서 물리적 차원의 음고 지표와는 그 성격이 다르다. 따라서 성조론에서 음성학적인 음고 지표를 이용할 때는 세심한 주의가 있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개별 음절에 실현되는 음고에 대한 청취적 인식과 음성학적 실측 사이의 관계가 명확하게 규명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성조 연구에 있어서 연구자의 청취적 인식과 음향 음성학적 실측 사이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이러한 관계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할 때, 두 방법이 상호 보완적 협력으로 성조의 본질을 드러내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음고에 대한 음향 음성학적 실측 자료는 연구자의 직관과 청취력에 의존하여 수행되는 성조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고, 성조 체계의 기술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등 매우 큰 유용성을 가진다. 그러나 성조론에서 유의미한 대립적 음고는 말소리의 물리적인 높이 자체가 아니라 그것을 심리 차원에서 등급화한 결과물이기 때문에 이러한 음성학적 실측 자료에만 전적으로 의존하여 성조 체계를 기술하고 설명할 수는 없다. 성조에 대한 음운론적 연구를 위해서는 이러한 실측 자료가 설명력 높은 음운 이론에 비추어 신중하게 분석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how the physical and the cognitive dimensions of pitch are related, and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the phonetic and phonological studies of tone. Tone is a product of cognitive process, in which the native speakers recognize contrastive toneme system from physical pitches on each syllable. ‘High tone’, ‘Low tone’, or ‘Rising tone’ is not designated automatically from the numerical value of ‘fundamental frequency’, but is derived from the psychological ranking process in the speaker’s mind. Speakers of tonal languages recognize tonemes by contrasting pitches on each syllable and referring them to tonal patterns of the language.
The phonetic data of the pitch on each syllable can provide some help for the studies on tone that have been, so far, carried out with researcher’s intuition and listening skills. These data can enhance the reliability of phonological description and explanation on the tone. And they also can give clues for 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tonal system. The tonal systems, however, cannot be described depending on these phonetic data only. These data need to be analysed carefully from the perspectives of appropriate phonological theories.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성조의 물리적 차원과 심리적 차원
3. 성조 기술의 음성학과 음운론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백석 시에 나타난 ‘소리’의 의미와 시적 기능
- ‘보문산을 부채로 가리고 다닌 우암’ 전설의 유형과 지역 배경
- 부사 ‘행여’의 통시적 연구
- 淸陰 金尙憲의 疏箚 考察
- 자본주의적 세계에 대한 재현과 조소-이연주론
- ‘시체 떠넘겨 살인 누명 씌우기 담’ 연구
- 고전소설의 경제적 유통과 그 의미
- 2000년대 초반 미니시리즈 드라마의 공간 이미지 고찰
- 『批選龜峰先生詩集』에 나타난 비평에 대하여
- 충청의 자연과 민요문화권
- 三國의 固有語 官職名語彙 小考
- 李奎報 撰「東國諸賢書訣評論序」의 文學的 考察
- 국어 용언의 품사 분류에 관한 인지적 접근
- 17세기 여성시인 李玉齋의 삶과 문학
- 국어 부정극어의 허가 영역과 통사 구조의 해석
- 성조의 청취적 인식과 실험 음성학적 실측의 상관성
- 한국어 단모음의 난이도 위계 설정 연구
- 석정 중기시의 상징과 현실 지향적 윤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