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ansculturalisme du Québec et problème de la notion de littérature nationale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저자명
- 신옥근(SHIN, Ok-Keun)
- 간행물 정보
- 『프랑스학연구』제60권, 393~41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5.15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ans cette étude nous essaierons de traiter la notion de nationalité en relation avec la littérature québécoise, remise en question par le transculturalisme et surtout celui de l’écriture migrante des néo-québécois. Pour cela nous examinerons autour de cette question la critique de Régine Robin, les théories de Clément Moisan et Renate Hildebrand, et celles de Gilles Dupis. Il s’agit à travers le transculturalisme de l’écriture migrante de la notion de la littérature québécoise basée sur l’ethnicité, ou bien la nationalité. Régine Robin, écrivain de l’écriture migrante, conteste sérieusement la notion de nationalité dans la littérature. Pourtant Gilles Dupis a neutralisé l’influence parfois exagérée par le transculturalisme en récusant la notion d’écriture migrante au singulier pour présenter celle d’‘écritures migrantes’ au pluriel. Est-ce à dire que cela témoignerait de la fin du transculturalisme au Québec? Nous contestons cette argumentation très subtile et implicite, mais pointue sur sa théorie critique. Parce que le transculturalisme du Québec s’est orienté vers la société aliénée et les minorités culturelles pour engendrer la possibilité de sa nouvelle transformation : c’est-à-dire celle de la trans-culture. En fait, il n’est pas possible de parler de littérature nationale avec l’émergence de l’écriture migrante et de ses autres. D’ailleurs la notion de littérature nationale dans la littérature québécoise reste très ambiguë au cours de l’histoire québécoise. Il faudrait au contraire supposer la litttérature métisse québécoise. La littérature québécoise existe mais elle est composée de voix multiples ; par conséquent la notion de littérature nationale québécoise est très contestable. On ne peut pas passer sous silence surtout l’existence d’une troisième voix que Hédi Bouraoui a signalée. On trouvera dans la littérature métisse du Québec d’aujourd’hui le principe de pluralisme fondamental.
목차
Ⅰ. 서론 : 퀘벡 국문학의 쟁점
Ⅱ. 이주문학과 국문학
Ⅲ. 전환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의 쟁점
Ⅳ. 퀘벡의 국문학의 정립문제
Ⅴ. 결론 : 혼종 퀘벡문학
참고문헌
〈Résumé〉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르트르의 『킨』 연구
- 이미지와 기호
- 19세기 사진 복제를 통한 개인 식별
- 퓌르티에르 사전의 특징에 관한 연구
- 까뮈의 부조리와 신화
- 입상적 글쓰기에서 무대적 글쓰기로
- 마르그리트 뒤라스 Marguerite Duras의 『연인 L’Amant』에 나타난 코스모폴리탄적 자아와 경계의 글쓰기
- 라클로의 『위험한 관계』와 세 편의 각색영화
- 프랑스어 교육에서 체면을 고려한 효과적인 상호작용 방안 연구
- 유럽문명의 기원으로서의 아프리카
- 프랑스의 금연 캠페인 연구
- ‘리좀’, ‘배치’, 혼종문화지역 마그레브
- 퀘벡의 전환문화주의 transculturalisme와 국문학의 정립문제
- 아프리카에서의 프랑스어 사용법
- 프랑스 와인의 지역별 특성 연구 (Bourgogne편)
- Stratégies d’enseignement
- 쉬페르비엘의 도시
- Le film du found footage dans les films français
- 다국적 기업의 기업이전과 EU 소규모 국가경제
- 퀘벡의 지방 및 도시 문화정책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BEST
- ‘진정한’ 문학이란 무엇인가 - 조르주 바타유의 「르네 샤르에게 보내는 서한 : 작가의 모순들에 관하여」 읽기
- 유럽 음식문화의 종주국 프랑스
- 인공지능 AIVA와 프랑스의 AI 저작권 문제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NEW
- 자크 타티 코미디의 단초로서의 <윌로 씨의 휴가> 고찰
- 샤를 브라방의 <위험한 관계> : ‘서간체 영화’ 만들기 방식과 감독의 다큐멘터리적 시선 연구
- 책의 즐거움 : 조르주 페렉의 책에 대한 물질적 관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