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리더의 하향적 영향력 전술, 목표몰입, 팀 성과 간의 관계
이용수 869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Downward Influence Tactic, Target Commitment, and Team Performance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최세경(Choi, Se Kyung) 강정애(Kang, Jung Ai)
- 간행물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6집 1권, 189~21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2.28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 내 리더가 사용하는 영향력 전술이 목표몰입 및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특히, 리더의 영향력이 효과를 미치는 범위는 리더의 통제 범위 내에 있는 팀원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팀 수준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다양한 전술 유형 중 구성원 태도 및 성과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리더의 합리적 설득과 상담을 영향력 전술 변수로 채택하였고, 영향력 전술에 강한 영향을 받는 결과로 밝혀진 목표몰입을 태도변수로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성과변수는 실제 팀의 매출 변화를 측정하여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리더의 영향력 전술, 목표몰입, 성과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을 기초로 하여 여섯 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총 140개 팀, 420명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리더의 합리적 설득과 상담 전술은 목표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목표몰입은 팀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리더의 영향력 전술과 팀 성과의 관계는 목표몰입을 통한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리더의 영향력 전술이 목표몰입을 통해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시켜주는 것으로, 실제 팀 성과의 향상을 위해 리더의 적절한 영향력 전술 사용이 요구됨을 실증적으로 확인 해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influence tactic, target commitment and team performance. The research design and analysis employed in this paper are all conducted at the team level.
Yukl et al.(2008) indicates that rational persuasion and consultation are the core tactics among all eleven others, because these two tactics demonstrate the strongest relationship with target commitment. Following his research, we use rational persuasion and consult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arget commitment as a mediator. The team performance is measured in the ratio of sales increasing. Data was collected from 420 members from 140 different team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rational persuasion and consultation show positive effect on target commitment. Second, target commitment positively affects the team performance.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ce tactic and team performance demonstrates an indirect effect only through target commitmen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더의 하향적 영향력 전술, 목표몰입, 팀 성과 간의 관계
- 팀원의 참여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팀 업무유연성과 집단잠재력의 영향
- Interactive Effects of Leader-Member Exchange (LMX) and Job Competency on Performance Expectancies and Job Performance
- 시장정보지향성, 혁신활동 및 경영성과 관계에 대한 여유자원의 조절효과 검토
- 심리적 자본이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리더의 진실성이 부하의 장인적 직무수행(Job Crafting)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 대한 연구
- 생태계 기반 프로젝트의 성공조건
- 학습조직의 세 가지 메커니즘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