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장정보지향성, 혁신활동 및 경영성과 관계에 대한 여유자원의 조절효과 검토

이용수  644

영문명
A Study of Slack Resources 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arket Information Orientation, Innovation and Performance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이홍배(Lee, Hongbae)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6집 1권, 217~25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2.28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여유자원들로 예산, 인력, 시간, 역량의 4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기업조직의 시장정보지향적 특성, 혁신 활동, 경영 성과 관계에서 여유자원의 조절 효과를 검토 분석함으로써 급변하는 환경에서 기업이 나아갈 새로운 전략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먼저 각 여유자원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여유자원의 수준이 높은 집단(H)과 낮은 집단(L)으로 구분하여 조절효과를 검정하였다. 검정 결과 매우 주목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여유자원의 특성에 따라서 조절 효과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에 확인하였으며, 그리고 여유자원과 각 관계 경로 특성에 따라서 여유자원은 다양한 조절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유자원과 혁신 활동 간의 관계는 여유자원의 특성과 연계하여 상황적 맥락(contingent context)에서 고려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간 여유자원의 경우, 시간 여유자원이 부족한 집단일수록 시장정보지향성은 혁신 속도와 혁신 범위에 박차를 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시간 여유자원이 많으면 다소 그 행보가 더디게 되는 업무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직무역량의 경우, U형의 특성을, 인력의 경우, 비록 엄격하지는 않지만 약한 ∩ 모양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some new strategic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lack resources such as budget, manpower, time, and capabilities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rket information orientation, innovative activities and managerial performance. The final research model is identified that meets the high degree of fitness for GFI=0.916(≥0.90 desirable), AGFI=0.877(≥.85), CFI=0.967(≥0.90 desirable), NFI=0.919(≥0.90 desirable), RMR=0.036(≥0.05 desirable), RMSEA=0.058(≥0.08 desirable), CMIN= 115.898, CMIN/DF=1.610(≤2 desir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ponse-innovation path, the innovation activities are very strong positive(i.e. strictly increasing) according to the degree of time slack resources in the low slack resources group(i.e. under mean), and weakly positive in the high group(i.e. over mean). Second, in the response-performance path, higher market orientation has positive influence(i.e. strictly increasing) to performance in high capabilities slack resources group. But, higher market orientation has negative influence(i.e. strictly decreasing) to performance in low group. This is a new finding of U type pattern which shows that although it has strong information processing needs the performance is not good when the capabilities slack resources could not support timely. Third, in the innovation-performance path, higher innovation activities has positive influence(i.e. strictly increasing) to performance in low manpower slack resources group. But, higher innovation activities has non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i.e. monotonically increasing) to performance in high group. This pattern is the weakly ∩ type. This means that in the low slack resources group they try to strengthen the degree of innovation for the performance.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relation patterns of innovation and slack resources through the contingent context on the characteristics of slack resourc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모형과 가설설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전략적 시사점과 향후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홍배(Lee, Hongbae). (2012).시장정보지향성, 혁신활동 및 경영성과 관계에 대한 여유자원의 조절효과 검토.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4 (1), 217-250

MLA

이홍배(Lee, Hongbae). "시장정보지향성, 혁신활동 및 경영성과 관계에 대한 여유자원의 조절효과 검토."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4.1(2012): 217-2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