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nteractive Effects of Leader-Member Exchange (LMX) and Job Competency on Performance Expectancies and Job Performance
이용수 528
- 영문명
- 부하직원의 성과기대감과 직무성과에 대한 리더-멤버 교환관계와 부하직원의 직무역량의 상호작용효과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곽원준(Kwak, Won Jun)
- 간행물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6집 1권, 67~10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2.28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리더-멤버 교환관계가 부하직원의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리더-멤버 교환관계가 부하직원의 직무성과에 주는 영향이 부하직원의 직무역량에 따라 달라지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고, 나아가 리더-멤버 교환관계와 부하직원의 직무역량이 상호작용하여 직무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부하직원의 성과기대감이 매개하는지에 대한 조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리더십 대용 상황모형을 기초로 하여 연구모형과 가설들을 설정하고 조사를 수행하였다. 설정된 연구모형과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한민국에 소재한 전자부품회사에서 근무하는 232명의 연구직원들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였고 중다귀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연구자가 예측하였듯이 부하직원의 직무역량이 증가할수록 리더-멤버 교환관계와 부하직원의 직무성과의 관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리더-멤버 교환관계와 부하직원의 직무역량의 상호작용효과는 부하직원의 성과기대감을 통하여 직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와 함께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Despite the well-establishe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 subordinate’s LMX and job performance,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whether the effect of a subordinate’s LMX on job performance varies contingent on a subordinate’s job competency and whether this interactive effect of a subordinate’s LMX and job competency is mediated by an employee’s performance expectancies. Drawing on thesubstitutes for leadership model, this study developed and investigated a conceptual model and hypotheses. To test the proposed study model and hypotheses, empirical data was collected from 232 R&D employees working in a South Korean electronics parts company and was analyzed with a serie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s expected, this study found that the LMX-job performance relationship was weaker when a subordinate was higher in job competency and that an employee’s performance expectancies transmitted the joint effect of LMX and job competency to job performance. The study findings were discussed along with manageri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y Development
Ⅲ. Method
Ⅳ. Results
Ⅴ. General Discussion
References
〈요약〉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더의 하향적 영향력 전술, 목표몰입, 팀 성과 간의 관계
- 팀원의 참여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팀 업무유연성과 집단잠재력의 영향
- Interactive Effects of Leader-Member Exchange (LMX) and Job Competency on Performance Expectancies and Job Performance
- 시장정보지향성, 혁신활동 및 경영성과 관계에 대한 여유자원의 조절효과 검토
- 심리적 자본이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리더의 진실성이 부하의 장인적 직무수행(Job Crafting)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 대한 연구
- 생태계 기반 프로젝트의 성공조건
- 학습조직의 세 가지 메커니즘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