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조직의 세 가지 메커니즘

이용수  2,661

영문명
Three Mechanisms of Learning Organization: Effects of Shared Knowledge, Dialogue, and Shared Identity on Team Effectiveness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김문주(Moon-Joo Kim) 윤정구(Jeongkoo Yoon)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6집 1권, 31~6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2.28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조직에서 언급하는 세 가지 메커니즘인 일원학습(single-loop learning), 이원학습(double-loop learning), 그리고 삼원학습(triple-loop learning)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간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이 불확실한 경영환경에서 지속적인 비교우위를 가져올 수 있는 핵심적인 요소로서 지식을 공유하는 일원학습의 메커니즘을 통해 진정한 학습조직(learning organization)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러한 일원학습과 다른 보다 고차원적 학습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일원학습을 넘어서 이원학습과 삼원학습의 학습 메커니즘이 의사결정의 질에 대한 매개효과를 통해 팀 성과와 팀 혁신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또한 조직의 지원(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이 이와 같은 학습 메커니즘을 어떻게 강화시켜 줄 수 있는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해보았다. 그 결과, 일원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지식의 공유(knowledge sharing) 뿐만 아니라 이원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생산적인 담론(dialogue)과 삼원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정체성 공유(identity sharing) 모두 의사결정의 질을 향상시키고 이는 다시 팀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원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생산적인 담론이 조직지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긍정적인 영향력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조직지원의 조절효과가 규명되었다. 자신들의 약점을 적극적으로 평가하고 과업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하며 실수에 대해 공개적으로 언급하는 생산적인 담론의 영향력이 조직지원을 높게 인지하는 팀에서 더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결국, 팀 제가 정착되고 있는 우리나라 조직에서는 팀 원들 사이에서 지식의 공유를 지지하는 차원을 한 단계 넘어서 생산적인 담론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정체성을 공유하는 것 또한 매우 장려되어야 할 조직학습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how organizational learning affects decision making quality which in turn affects team effectiveness. Many researchers for organizational learning have emphasized on the single loop learning which focuses on sharing task knowledge as a key to survive in competitive environment. On the top of this mechanism, this study draws research attention to the roles of higher mechanisms for organizational learning: double loop learning and triple loop learning. Specifically, we theorize how the three mechanisms of organizational learning promote team effectiveness through decision making quality. This study also predicts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ill moderate the positive effects of organizational learning on decision making qualit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orks as a supporting mechanism when teams need to challenge the established team norms or standards to attain team’s higher goals. Finally, we predicts that decision making quality mediat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learning on team innovativeness and performa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all three levels of organizational learning increase decision making quality. There also found the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y double loop learning only on decision making quality. Dialogue as a double loop learning could be reinforced under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for the teams. The effects of three learning mechanisms on team performance and innovativeness as well as the moder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by dialogue were mediated by decision making quality. We discussed implications of findings in details.

목차

〈요약〉
Ⅰ. 연구의 배경 및 문제 제기
Ⅱ. 이론적 고찰 및 가설 도출
Ⅲ. 연구방법 및 측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문주(Moon-Joo Kim),윤정구(Jeongkoo Yoon). (2012).학습조직의 세 가지 메커니즘.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4 (1), 31-65

MLA

김문주(Moon-Joo Kim),윤정구(Jeongkoo Yoon). "학습조직의 세 가지 메커니즘."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4.1(2012): 3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