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s of Receptive vs. Productive Vocabulary Instruction
이용수 38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Hyo-Seon An Chan Kyoo Min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영어교과교육 10권 2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research results on the effects of receptive instruction and productive instruction on vocabulary gains and retention, using the quantitative research technique of meta-analysis. A total of 18 primary studies were analyzed to observe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different types of vocabulary instruction (receptive vs. productive) and tasks (R0, R1, R2, P0, P1, P2) under those categories. The results showed that (a)little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receptive and productive instruction statistically, except that productive instruction had a long-term retention effect, (b) combined effect sizes for each category showed the pattern of P2 > R2 > P1 > R0 > R1 > P0; however, the differences among task types were modest, (c) productive instruction yielded higher effect size in productive vocabulary gains with receptive instruction yielding the same result in receptive vocabulary gains,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and (d) the learning context of ESL and EFL, educational status, length of treatment, and the context of outcome measure were found to be moderator variables which affect the outcome of instruction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way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Ⅳ. RESULTS
Ⅴ. DISCUSSION
Ⅵ. CONCLUSION
REFERENCES
APPENDIX A
APPENDIX B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미단위로 끊어 듣기 활동을 통한 영어 듣기 능력 향상 방안
- The Effects of Receptive vs. Productive Vocabulary Instruction
-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 수업운영 방식 연구
- 학군과 부모의 교육적 태도가 자녀의 사교육과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아동문학작품의 번역오류유형 분석을 통한 영어교육의 방향제시
- Exploring Inhibition Factors of Communicative Learning Practices in Korean University EFL Classes
- Korean University Students’ Responses to Direct and Indirect Feedback in Writing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