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식사회에서의 평생학습이론의 지향점
이용수 5,402
- 영문명
- Expansive Learning Theo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 Lifelong Learning Theory in the Knowledge Society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희(Kyung Hi Kim)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17권 제4호, 293~32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엥스트롬의 확장학습이론(expansive learning theory)을 중심으로 지식사회에서의 평생학습이론의 지향점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엥스트롬의 확장학습이론은 학습의 문제를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고, 평생학습활동을 확장적 활동 체제의 관점에서 분석하기 때문에 지식사회에서의 평생학습이론의 지향점을 탐색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 확장학습이론은 모순적 활동체제를 확장적으로 전환시키는 확장적 학습을 강조한다. 지식사회라는 시대적 상황에서 평생학습이론의 지향점을 탐색한다는 것은 네 문제에 대한 성찰적 검토를 포한한다. 첫째, 평생학습하는 주체를 누구로 이해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둘째, 평생학습의 목적 혹은 평생학습이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이다. 셋째, 평생학습의 결과 무엇이 변화되고 성장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이다. 넷째, 무엇을 어떻게 평생학습해야 하는가와 관련된 문제이다. 평생학습 이론의 지향점과 관련된 이 문제를 엥스트롬의 확장학습이론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Engestrom’s expansive learning theory as an attempt to consider what lifelong learning theory should be in the knowledge society. Engestrom’s expansive learning theory attempts to examine matters of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learning and to analyse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expansive activity systems. Expansive learning theory puts emphasis on expansive learning which enables to transform contradictory activity systems into expanded activity systems. Inquiring a lifelong theory in the knowledge society includes examining the four key questions about lifelong learning: firstly, who is the subject of lifelong learning?; secondly, what is the purpose of lifelong learning?; thirdly, what should be the outcome of lifelong learning?; and finally, what are some concrete lifelong learning actions? In this study, Engestrom’s expansive learning theory will be examined to answer these questions.
목차
요약
Ⅰ. 들어가며
Ⅱ. 문화역사적 활동이론과 엥스트롬의 확장학습이론의 문제의식과 주요개념
Ⅲ. 확장학습이론의 핵심 요소
Ⅳ. 확장적 학습 사례: 엥스트롬의 헬싱키 아동 돌봄활동연구사례
Ⅴ. 확장학습이론의 특성
Ⅵ.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조금 돌아서 온 지름길”: 명문대 지역 분교 출신 청년들의 내러티브에서 나타나는 학벌주의의 역설
- 학군에 따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변화: 서울 지역 교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경계선지능 학습자 담론의 사회적 구성: 텍스트마이닝 기반 뉴스·보도자료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