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Social Commerce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Categories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서용구(Suh, Yonggu) 김혜란(Kim, Hye-Ran) 현정아(Hyun, Jungah)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29권 제4호, 149~16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7.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소셜 미디어를 통한 활발한 의사소통은 새로운 소비채널인 소셜 커머스를 등장시켰고 새로운 소비 문화를 이끌었다. 하지만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소셜 커머스 시장에 비해 학문적 접근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의 주관성의 영역을 다루는 Q방법론을 사용하여 소셜 커머스의 주이용층인 Y세대 소비자의 인식과 태도, 유형별 특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네가지 소비자 유형과 특성이 도출되었고, 각각 저가지향형, 습관적 헤비유저, 트렌드 선도형, 폐쇄적 충동구매형으로 명명하였다. 인구통계적인 분석에 의존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벗어나 소셜 커머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태도, 행동에 관점을 맞춰 각 유형에 대한 특성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큰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re is few research studying social commerce though social commerce with social media has been developed rapidly.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social commerce consumers, y generation, are characterized and discriminated on the basis of their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social commerce. Q methodology was used in this paper. Four are found to be consumer categories that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the social commerce research field where there is no published work on consumer categories based on consumer perception, attitude and purchase behavior. Additionally, a practitioner can gain a better perspective of competitive strateg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셜 커머스 소비자특성과 유형분석
- 관광 상품화를 위한 지역축제 활성화 연구
- 소비자는 왜 부정적 인물과 관련된 제품을 구매하는가?
- 반려동물 소유와 애착이 육류제품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고객만족 및 재방문 의도 결정요인
- 유통업체 브랜드 구매 후 평가와 제조업체 브랜드 구매의도
- 지배확률과 생존확률이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연구
- 기대가격과 CMF 요소와의 상관관계
- NPD through Cooperation in IJV
- 중국 각 지역의 환경경영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 프로 스포츠팀 연고와 스타 플레이어가 기업신뢰 및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 확장에서 가격전략에 관한 연구
- 지역원산지 인지도를 포함한 쌀 브랜드명 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관한 연구
- 브랜드 통합 포인트 카드의 이용행태와 통합효과
- 스토리텔링의 속성을 응용한 모델하우스 디자인과 리빙스타일 연출 모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