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행 하위문화이론에 나타난 빈곤과 범죄의 사회학적 고찰
이용수 1,233
- 영문명
- The Sociological Research of Poverty and Crime in the Delinquent Subculture Theory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김영제(Young Je Kim)(金英濟) 김판석(Pan Suk Kim)(金判錫)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7권 제3호, 171~18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 사회 빈곤과 범죄의 관련성을 연구함에 있어 사회경제적 입장의 측면에서 지역사회 사회 계층과 범죄 간의 관계를 범죄 발생 및 범죄 통제의 정도, 그리고 법의식과 사회 계층적 갈등의 측면에서 빈곤과 범죄의 관계성을 비행 하위문화이론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비행 하위문화의 관점은 하위 계층은 중류 계층이주를 이루는 사회에서 중류 계층을 따르기 위해 노력하고 이런 노력이 좌절 될 때마다 사회에 반항심을 갖게 되고 합법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들이 좌절되면 중류 계층이 만들어 놓은 규범과 질서에 반항심을 갖게 되고 성공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과정에 범죄를 저지르게 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빈곤과 범죄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볼 때 범죄 연구에 있어서 사회 환경적 요인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을 통한 다학제적인 논의가 필요하며, 빈곤퇴치를 위한 사회복지 및 사회 안전망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iscusses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lasses and crime within a community in terms of crime occurrence and its control from the socio-economic aspec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crime with a focus on the delinquent subculture theory in terms of legal consciousness and class conflict. According to the theory, the lower-class members try to achieve success legitimately in a society where the middle class values are dominant, but they become frustrated and express aggression against the middle class norms which have caused them frustration. Furthermore, they even commit crimes to achieve their desired goals. In that, the statistics support the delinquent subculture theory which Cohen argued.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poverty and crime, this study stresses multi-disciplinary discussion using comprehensive approaches to socio-environmental factors in crime studies, social welfare, and effective social safety nets to reduce poverty.
목차
Ⅰ. 서론
Ⅱ. 계층과 범죄에 관한 이론적 접근
Ⅲ. 빈곤화와 범죄 계층
Ⅳ. 비행 하위문화의 사회학적 의미
Ⅴ.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과 영국의 테러조직 지정 및 관리에 대한 고찰
- 경비지도사 자격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대학생들의 음주운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부산광역시 자살손상현황 분석
- 지역응급의료 재난관리공동체 형성을 위한 파트너십 연구
- 구강보건의료기관 종사자의 방사선 안전관리행위가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지역 주민의 범죄 위험 인식 분석에 대한 연구
- 장애인차별금지법에서 교육차별에 대한 고찰과 이행과제
- 재난 피해자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위기개입모델 비교 연구
- 비행 하위문화이론에 나타난 빈곤과 범죄의 사회학적 고찰
- 지방자치단체의 위기관리 역량강화 방안
- 지진재해를 대비한 효과적인 대응책 연구
- 토석류 유발 특성인자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