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난 피해자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위기개입모델 비교 연구
이용수 2,299
- 영문명
- Crisis Intervention Models: A Comparison of Six Models for Improving Mental Health of Disaster Victim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한재은(Jae Eun Han)(韓在恩) 정순둘(Soon Dool Chung)(鄭順乧 ) 김고은(Go Eun Kim)(金高銀)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7권 제3호, 49~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재난 피해자들에 대한 위기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국내의 위기개입 모델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재난 피해자들의 정신건강의 특성과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위기개입 모델인 CODE-C DMHSD(CODE-C A model for disaster mental health service delivery), CISM(Critical Incident Stress Management), CISD(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 CCP(Crisis Counselling Assistance and Training Program), Debriefing, Psychological First Aid(PFA)의 여섯 가지 모델을 소개하였다. 또한 각 위기개입모델의 목적, 개입내용 및 특징과 효과성 등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재난 시 정신건강 지원 개입모델을 분석해 보고 재난 피해자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위기개입 모델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necessity of crisis intervention model for disaster victims and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six crisis intervention models. This study introduced these six models: CODE-C DMHSD(CODE-C A model for disaster mental health service delivery), CISM(Critical Incident Stress Management), CISD(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 CCP(Crisis Counselling Assistance and Training Program), Debriefing, Psychological First Aid(PFA). The dimensions of comparison for crisis intervention models are intervention purpose, intervention period and range, subjects of intervention, intervention content and phase, characteristics, effectiveness, strengths, and limitations. This study showed that professionals for disaster area should select an appropriate model fitted to crisis situation among six crisis intervention models. Implications for crisis model development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재난발생과 위기개입의 필요성과 선행연구
Ⅱ. 재난 피해자들의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위기개입 모델
Ⅲ. 재난 위기개입 모델 비교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과 영국의 테러조직 지정 및 관리에 대한 고찰
- 경비지도사 자격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대학생들의 음주운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부산광역시 자살손상현황 분석
- 지역응급의료 재난관리공동체 형성을 위한 파트너십 연구
- 구강보건의료기관 종사자의 방사선 안전관리행위가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지역 주민의 범죄 위험 인식 분석에 대한 연구
- 장애인차별금지법에서 교육차별에 대한 고찰과 이행과제
- 재난 피해자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위기개입모델 비교 연구
- 비행 하위문화이론에 나타난 빈곤과 범죄의 사회학적 고찰
- 지방자치단체의 위기관리 역량강화 방안
- 지진재해를 대비한 효과적인 대응책 연구
- 토석류 유발 특성인자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