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말더듬 가계력 연구
이용수 957
- 영문명
-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in Korean Children Who Stutter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신문자(Moonja Shin) 전희정(HeeCheong Chon) 이지숙(JiSuk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6권 제3호, 304~311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가계력은 말더듬 시작과 관련된 주요한 요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의 말더듬 아동을 대상으로 말더듬 가계력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227명의 2∼6세 말더듬 아동(남자 180명, 여자 47명)이었으며, 각 아동을 대상으로 말더듬 가계력 여부를 조사하고 가계력의 유형(부계와 모계)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말더듬 가계력이 있는 아동은 112명(49.3%)으로 나타났다. 말더듬 가계력이 있는 아동 중 일차친족(가족: first-degree relatives)의 말더듬을 보고한 아동들(남자 48명, 여자 14명)을 대상으로 일차친족의 성별 비율을 분석한 결과, 남자 말더듬 아동의 경우 남자 일차친족이 말더듬이 있는 경우는 47.9%, 여자 일차친족이 말더듬이 있는 경우는 50.0%로 나타났다. 여자 말더듬 아동의 경우, 남자 일차친족이 말더듬이 있는 경우는 57.1%, 여자 일차친족이 말더듬이 있는 경우가 42.9%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말더듬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이번 결과는 말더듬 아동 가족에게서 높은 비율의 말더듬 가계력을 보인다는 선행연구결과들을 지지하고 있다. 성별에 따른 차이, 그리고 말더듬 가계력이 보고된 아동의 부계 또는 모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은 말더듬 집단의 이질성을 시사한다. 또한 말더듬의 시작과 진전은 말더듬이 진행되기 쉬운 유전적 소인뿐 아니라 환경적인 결합 또는 상호작용이 고려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in young Korean children who stutter (CWS). Methods: Participants were 227 CWS, 2 to 6 years of age (180 boys and 47 girls). Information regarding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was collected. Results: In this study, 49.3% of CWS (112 CWS) reported a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Of children whose first-degree relative(s) had stuttering problems (48 boys and 14 girls), the percentage of male relatives who stuttered in the families of stuttering boys was 47.9%, and the percentage of female relatives who stuttered was 50.0%. The percentage of male relatives who stuttered in the families of stuttering girls was 57.1%, and the percentage of female relatives who stuttered was 42.9%. Discussion & Conclusions: The high incidence of stuttering in the family of CWS supports previous research, which has indicated that the incidence of stuttering is higher in stuttering populations. Differences in sex or type of family history (i.e., paternal, maternal), however, were not significant. This may indicate that stuttering is not a homogeneous disord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말더듬 가계력 연구
- 읽기 성취 및 읽기 심리처리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 억양변조합독(Intonation-altered choral reading)에서 말더듬 비율
- 한국 성인 인구의 주관적 음성문제와 직업 요인
- 직업적 음성사용인의 음성문제에 대한 질적 연구(1)
- 자폐범주성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문법형태소 산출 비교 연구
- 이어폰 종류와 소음 환경이 실험실 환경에서 휴대용 음향기기의 청취음량에 미치는 영향
- ‘ASHA 의사소통 삶의 질 척도’의 한국어판 번안
- 경-중도 한국어 실어증 환자의 어휘인출결함 진단에 연결주의(connectionism) WebFit 프로그램의 적용
- 평가자 집단에 따른 말더듬 순간 판단 비교
- 4세 조음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말속도와 문장길이에 따른 조음능력 비교
- The Effect of Lee Silverman Voice Treatment (LSVTⓇ) on Parkinsonian Phonation
- 영유아의 상징놀이 발달과 초기 표현 어휘 발달과의 관계
- 언어치료사의 전문성 인식 연구
- 삼킴장애를 보이는 뇌졸중환자의 침습 및 흡인에 따른 설골 이동범위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
- 상관의 개발리더십과 육군 ROTC 단기복무 전역장교의 경력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 프로티언 및 무경계 경력태도에 기초한 경력개발 유형 탐색: 유형별 정서적 조직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