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증여성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248
- 영문명
-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ocial Integration of those with Severe Disabled Women - With a focus on the mediation effects of family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황보옥(Ok, Hawng bo) 박영준(Park, Young Joon)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5권 제3호, 289~31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증여성장애인의 사회통합, 가족지지 및 사회적 낙인, 건강과의 관계모형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중증여성장애인 216명을 대상으로 사회통합, 가족지지 및 사회적 낙인, 건강과의 관계를 PASW통계프로그램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인 AMOS를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중증여성장애인의 사회통합, 가족지지 및 사회적 낙인, 건강요인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을 통한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중증여성장애인의 건강요인, 가족지지는 사회통합에 직접적 영향력이 나타났고, 사회적 낙인, 건강요인은 가족지지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중증여성장애인의 건강요인과 사회적 낙인의 영향은 가족지지의 매개적 역할을 통해서 사회통합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evelop a causal model linking between Social Integration, Family Support, Social Stigma and Health Factor for Severe Disabled Women in Disabled Community Association.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Integration for Severe Disabled Women.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evere Disabled Women who are currently serviced by center and 216 were us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data. SPSS and AMOS statistical software were used to analyze data.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Social Integration, Family Support, Social Stigma and Health Factor for Severe Disabled Women. Second,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showed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Social Integration, Family Support, Social Stigma and Health Factor was significant. Thus to improve Social Integration for Severe Disabled Women they need to be satisfied with a focus on the mediation effects of Family Support and Social Stigma, Health Factor then again it makes a contribution in enhancing the Social Integration.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과제 지향적 상지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 정신장애인과 사례관리자가 지각한 관계가 재활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국내 정책의 실태와 개선방향
- 장애인 활동보조서비스 코디네이터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 뇌성마비 아동 보호자의 우울증 관련 모형 분석
- 장애인의 스마트폰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 중증여성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에 대한 영향요인
- Who are Vulnerable to End up in Juvenile Justice Systems?
- 성인 편마비환자의 지팡이 길이에 대한 실태조사
- 긍정적 행동지원이 중증 자폐학생의 학교 내 장소 이동 중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장애청소년 부모의 양육부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낙상방지용 신발의 개발과 편마비 환자에서의 임상적 평가
- 한센병력인의 낙인감과 사회적 회피 및 불안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장애인 직업재활 조직간 네트워크 구조 및 영향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5권 목차
- Th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